1장 키에르케고어
1절 쇠렌 키에르케고어(1813-1855의 생애 등 2절 심미적 실존 3절 윤리적 실존 4절 종교적 실존 : 『공포와 전율』 5절 ‘절망의 변증법’과 ‘단독자’ 6절 평 가
2장 칼 야스퍼스
1절 칼 야스퍼스의 생애(1883-1969 2절 존재탐구 3절 가능적 실존에 근거한 철학 4절 포괄자 칼 야스퍼스의 존재론 5절 세계정위 : 『철학 Ⅰ』 6절 실존조명 : 『철학Ⅱ』 7절 실존해명 통한 형이상학적 초월 :『철학Ⅲ』 8절 평 가
3장 하이데거
1절 마르틴 하이데거의 생애와 저술 등 2절 ‘존재’의 의미에 대한 물음 3절 현존재의 실존론적 구조 4절 ‘세계-내-존재’에서의 ‘세계’ 5절 ‘세계-내-존재’에서 ‘내-존재’ 6절 현존재와 시간성 7절 평 가
4장 사르트르
1절 사르트르의 생애 등 2절 존재의 탐구 : 즉자존재 3절 무(無의 문제 4절 대자 존재와 시간성 5절 대타존재론 6절 평 가
서양 현대철학사는 크게 넷으로 분류되는데, 그것은 실존주의(생철학과 현상학 포함, 구조주의, 분석철학, 및 실용주의철학이다. 여기에 굳이 하나를 더 이야기 하자면 사회주의 철학이 있는데, 이것은 기존의 인식론적 전통에서 벗어난 철학으로서 순수철학은 아니다. 한편, 실존주의와 구조주의는 대륙권에서 유행하는 철학이며, 분석철학과 실용주의철학은 영미권에서 유행하는 철학이다. 생철학-현상학-실존주의의 관계 실존주의 철학은 칸트-헤겔의 전통을 이어받았다.
칸트의 철학은 순수이성비판과 실천이성비판을 통해 우리의 이성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 지를 논증한 것이었다. 특히 순수이성비판은 우리 안에 선험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범주적 기능이 어떻게 자연법칙을 발견하고 더 나아가서는 산출해내고 있는 지를 논증한 것이었다. 칸트는 우리 안의 범주의 작동원리만을 말한 것이었다. 그는 또한 이와 더불어 우리 이성의 한계를 말하였다. 우리는 형이상학적 실체인 물 자체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는 것이었다.
헤겔은 여기에서 더 나아가 정신이 어떻게 현상하며 작동하는지를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의 이성 혹은 정신이 절대정신으로 고양될 수 있다고 까지 말하였다. 실존주의 철학은 칸트와 헤겔의 논의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는데, 실존주의로 이행하기 전에 그 전단계로서 생철학과 현상학을 말할 수 있다.
생철학은 인식론과 관련하여 이들의 철학적 대상은 우리 자아의 본질이었다. 그리고 이 자아에서 어떻게 의식이 생성되며,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지를 고찰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철학적 대상은 인간의 삶 혹은 생 그 자체였다. 이 생철학의 대표자는 쇼펜하우어, 딜타이, 그리고 베르그송이다. 현상학은 이제 이 의식보다 더 깊은 자아에 대한 추적을 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접근방법을 말한 것이 현상학이다. 이 현상학의 대표자는 후설인데, 메를로-퐁티도 이 현상학자의 범주에 넣을 수 있겠다.
실존주의 : 키에르케고어, 야스퍼스, 하이데거, 샤르트르 헤겔의 체계를 가장 탁월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