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글: 우리는 창의성 딜레마에서 무엇을 배울까? 1
제1장 창의성 딜레마 11
▷ 01. 창의성이란? 12
1. 창의성의 광의적, 협의적 정의: 창조성, 혁신성 12
2. 창의성의 2가지 하부차원(Sub-Dimension 구성요소: 독창성(Novelty과 의미성(Meaningfulness 18
3. 창의성의 4가지 측면: Personality, Process, Environment, Outcome 20
4. 창의성 이론의 정리 25
▷ 02. 창의성 딜레마 28
1. 창의성의 딜레마란? 28
2. 창의성 딜레마와 혁신가의 딜레마: 29
3. 창의성 딜레마의 핵심 질문: 과연 창의성이 회사의 성공을 가져올 수 있을까? 왜 창의적인 제품은 실패하는가? - 새한 미디어 케이스에서의 레슨 31
4. 창의성 딜레마의 이해: 매직박스인 독창성과 다다익선인 의미성 32
5. 창의성의 장기적인 효과를 통한 창의성 딜레마의 해결책: 어떻게 창의성의 딜레마를 극복할 것인가? 매직박스인 독창성은 창의성의 미운 오리새끼인가? 35
제2장 창의성 딜레마(Creativity Dilemma: 왜 창의적인 제품이 실패하는가? 39
▷ 01. 새한미디어는 실패하고, 애플은 성공한 이유 40
1. 들어가는 글 40
2. 퍼스트 무버(first mover 새한 미디어의 실패와 퀵 팔로어(quick follower 애플의 성공사례 41
3. 창의성 딜레마 43
4. 창의성 딜레마에서 무엇을 배울까? 45
▷ 02. 첨단 기술 산업에서의 시장지향성과 창의성이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 47
1. 연구동기 49
2. 이론적 프레임워크 53
3. 연구 모델의 제안과 연구 가설의 개발 55
제3장 단순함으로 승부하라. 실패하는 시장 개척자 vs 성공하는 시장 모방자 65
▷ 01. 전기차의 성공, 구호 요란한 테슬라 vs 니즈 파악한 닛산(DBR: 왜 닛산이 초기에 더 성공하였는가? 66
1. 시장 개척자와 시장 모방자, 누가 더 성공할
들어가는 글
우리는 창의성 딜레마에서 무엇을 배울까?
격변하는 환경에서 업무 수행 과정 또한 급변하고 있는 오늘날의 세상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있어 ‘창의성이 높은 사람이 성공한다’는 흔히 들을 수 있는 말이다. 누구나 한 번쯤은 “나는 과연 창의적인 사람인가?”라는 질문과 함께 자신의 창의성을 측정해 보고자 하고 향상시키려는 노력도 해 보았을 것이다. 저자의 초중고등학교 시절을 돌이켜 보면 저자는 창의적 교육을 많이 하는 미술이나 음악 시간에 창의적이라고 할 만큼 독창적인 작품들을 만든 기억이 없다. 그래서 “아 나는 별로 창의적이지 못하니 예술은 안 맞겠다”고 했던 것 같다. 그런데 고등학교 2학년 때 기술시간에 제도를 해서 건물을 그려 오는 과제가 있었는데, 자를 대고 쓱쓱 그리다 보니 생각보다 창의적인 건물을 그렸던 기억이 있다. 친구들이 “야, 너 그거 독특하게 잘했네”라고 해주자 스스로 우쭐하여 “아 나도 창의적인 면이 있네” 하는 생각을 혼자 했던 적이 있다. 기술 시간의 경험 덕택에 저자는 대학의 전공과 진로를 결정할 때 건축가가 되야겠다는 꿈을 안고 공대에서 가장 창의성을 요구하는 건축공학과를 지원했던 것이 생각난다. 건축공학과를 다니는 4년 동안 창의적인 작품을 만들기 위해서 작품 데드라인과 잠과 싸웠지만, 그 진정한 내면에는 창의성과의 싸움이 있었다. 제도판에 제도지를 올리고 T자와 삼각자를 들고 로트링펜(그때 당시 제일 유행하던 설계용 펜이다을 들고 건축설계를 하면 신이 났었고, 어렵게 어렵게 장고를 거듭한 끝에 새로운 아이디어가 나오면 밤을 새는 것도 즐거웠던 때였다. 특별히 같이 작업하는 동기들보다 내가 더 창의적이라고는 생각한 적이 없지만, 시간을 들여서 머리를 짜내서 밤새고 시간을 투자하면 나쁘지 않은 작품이 나오는 것을 보고, 나의 창의성이 나쁘지는 않구나 하는 생각을 했다.
그런데, 대학교 4학년 때 나의 창의성의 한계를 느낀 결정적인 사건이 일어났다. 그때 당시 처음 시작한 ISEP(International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