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_제20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금동화 | iv
출간을 축하하며 제21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한홍택 viii
인류에 공헌한 과학을 위하여 제23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이병권 xii
옮긴이 서문 14
1901 혈청을 이용한 디프테리아 치료법의 발견 | 에밀 폰베링 23
1902 말라리아의 인체 침투 경로에 관한 연구 | 로널드로스 28
1903 심상루프스의 치료를 위한 광치료법 발견 | 닐스 핀34
1904 소화·생리 기능의 생명 현상에 관한 업적이반파블로프 40
1905 결핵연구로베르트 코호 | 48
1906 신경계의 구조에 관한 연구 | 카밀로골지 산티아고라온이 할 56
1907 질병 발생과 관련한 원생생물의 역할에 관한 연구 | 알퐁스 라베랑 62
1908 면역에 관한 연구 일리야 메치니코프 파울리히 | 70
1909 갑상선의 생리학 · 병리학적 연구 및 외과 수술에 관한 연구 | 에밀코허75
1910 세포화학의 발전에 관한 공로 | 알브레히트 코셀 80
1911 눈의 굴절광학에 관한 연구 바르스트란드 86
1912 혈관 봉합술 및 기관 이식에 관한 업적 | 알렉시스 카렐 90
1913 과민증에 관한 연구 | 샤를리세 97
1914 전정기관의 생리병리학에 관한 업적 로베르트바라니 | 103
1919 면역에 관한 연구 쥘 보르데 109
1920 모세혈관의 운동조절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아우구스트 크로그|116
1922 근육 내 열생산에 관한 연구 아치볼드 힐 | 126
산소 소비와 젖산대사의 고정관계 연구 | 오토마이어호프
1923 인슐린의 발견 프레더릭 밴팅, 존 매클라우드 136
1924 심전도 메커니즘을 발견한 공로 빌림에인트호벤 | 143
1926 스파이롭테라 암을 발견한 공로 요하네스피비게르 153
1927 마비성 치매의 치료에서 말라리아 접종법의 가치에 관한 연구
| 바그너 아우레크 |158
1928 티푸스 연구 | 샤를니콜 163
1929 항신경염성 비타민과 성장촉진
123년 노벨상 시상식을 생중계하다!
매년 12월 10일, 알프레드 노벨의 사망일에 맞춰 열리는 노벨상 시상식. 이 자리에는 스웨덴 왕실을 비롯해 정치, 경제 등 각계 최고의 인사들과 과학자들이 한데 모인다. 간단한 인사말과 축하 공연에 이어 시상식 본식이 시작된다. 노벨상 위원회는 먼저 수상자를 발표한 뒤 연설을 통해 선정 사유와 수상자들의 업적을 알려준다. 이때 노벨상 시상 연설을 하는 연설자는 스톡홀름 콘서트홀을 가득 메운 청중과 스웨덴 왕족에게 노벨상 수상자를 선정하게 된 이유와 수상자가 이룬 업적의 과학적 의미 등을 간결하게 정리하여 소개한다. 따라서 전문적인 과학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설이 아닌 만큼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연설을 진행하기 때문에 스웨덴 왕족을 비롯한 일반 대중은 노벨상 수상자의 고도의 학문적 성과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현재는 연설로만 이루어지지만 노벨상 초기에는 시상 연설과 함께 수상자가 수행한 실험을 직접 시연하기도 했다. 시상 연설에 불과하지만 연설문을 통해 당시 시대적 상황을 생생히 그려볼 수 있다.
과학자가 들려주는 시상 연설
번역에는 한국 싱크탱크인 한국기술연구원(KIST의 소속 과학자가 직접 참여했다. 전 환경부 장관이며, 단백질 고분자 물질에 대한 새로운 분석법 개발과 신호전달 단백질의 정량화를 연구한 유영숙 박사와 신경면역질환 동물 실험 모델에서 질병과 독성 물질의 체내 동태를 연구하는 권오승 박사, KIST 생체대사연구센터에서 박사 후 연구원을 지낸 한선규 박사가 2007년부터 2023년까지 모든 노벨 생리의학상 시상 연설을 전문가가 아닌 일반 대중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했다. 이뿐만 아니라 서문을 통해 원충과 세균에서부터 면역, 유전, 세포, 대사를 아우르는 123년간의 굵직한 생리의학의 발전사이자 인간의 질병 투쟁의 역사를 되짚으며 노벨 생리의학상이 우리 인류에게 주는 의미와 가치를 되새길 수 있도록 돕는다. 아직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가 나오지 않는 한국의 과학자로서 냉철한 시각도 엿볼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