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서문
추천사
역자 해설, 『초암다실의 미학』 소개
1. 서론
2. 초암다실의 출입구(니지리구치
3. 다실정원(로지, 露地)
4. 다실정원의 징검돌
5. 다실의 창
6. 다실의 도코노마
7. 족자 - 묵적과 묵화
8. 다실의 꽃
9. 물
10. 리큐의 다도 - 초암다실의 미학 결론
11. 선차(禪茶와 그 미(美
12. 대덕사의 차
색인
연표
역자 후기
저·역자 약력
이보다 더 작고 싸게 구할 수 없는 방(房인
다다미 4장 반의 미학
초암다실(草庵茶室은 작고 소박한 다실로 ‘와비다실(わび茶室, 侘茶室’이라고도 하며, 일본에서 다실이라고 할 때는 흔히 이 초암다실을 가리킬 때가 많다.
일본의 다성(茶聖이라 불리는 센노리큐(千利休는 집은 비가 새지 않을 정도면 족하다고 하여, 초암차(草庵茶의 정신을 강조했다. 동시에 그는 작은 것에서 아름다움을 보는 와비미(わび美, 侘美의 구성에 한층 더 신경을 쏟아부었다. 다실의 천장이나 벽은 말할 것도 없고, 다실 내 특별한 공간의 너비, 깊이의 치수까지 까다롭게 따져 와비의 종합적인 미를 심오하게 추구하며 초암다실의 형식을 완성하였다.
초암다실은 다다미 4장 반으로(약 2평 만들어졌다. 현재 일본에서는 이 4장 반을 우리나라의 고시원 정도의 작고 더 이상 싸게 구할 수 없는 방으로 비유하고 있다. 이 작고 좁은 공간에서도 자유로움을 얻을 수 있게 되는 것, 그것은 좁은 게 좁은 것이 아니고, 넓은 게 넓은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바로 ‘이것은 이렇다’라는 아집을 타파하는 것, 그것이 곧 선을 깨닫게 되는 방법이라 말하고 있다. 보통의 논리로써는 성립하지 않는 참선과 차(茶의 정신은 같고, 가장 좁고 작은 다실 속에서도 가장 넓고 큰 세계가 있음을 강조한 것이다.
선(禪을 깨닫게 구성된 초암다실의 구조
차는 단순히 마시던 음료였다. 음료에서 의식(儀式이 되고, 거기에 정신적인 의미가 더해지면서 차를 대하는 본질이 바뀌게 되었다. 본질이 바뀌면 자연스레 그것을 품은 공간 역시 변하게 되는 것이다.
그렇게 차의 의미가 변했고 차(茶와 선(禪은 하나라는 다선일여(茶禪一如를 공간으로 표현한 것이 초암다실이다. 다만 이 책에서는 선의 세계를 형이상학적 접근이 아닌, 초암다실이라는 실재하는 공간의 구조적 접근을 통해 명료하게 밝히고 있다는 데 의미가 깊다.
구체적으로 초암다실의 구조를 살펴보면,
(1 선에서의 오묘한 깨달음인 무(無의 관문을 상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