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전쟁에서 벌어진 폭력의 가해자이자
그 전쟁에 휩쓸렸던 피해자이기도 한 남자가
50년 동안 몸으로, 죄의식으로 새긴 고통의 기억
또 하나의 의미 있는 베트남전쟁 소설이 탄생했다. 정의연 장편소설 『롱빈의 시간』이 바로 그것이다. 베트남전쟁에서 벌어진 폭력의 가해자이자 그 전쟁에 휩쓸렸던 피해자이기도 한 남자가 50년 동안 몸으로, 죄의식으로 새긴 고통의 기억을 생생하게 담았다.
작가는 이 작품을 쓰기 위해 관련 자료를 최대한 보고 읽고 공부했으며, 한국군 참전군인들을 만나 그들의 이야기를 듣고 현재 상태의 그들을 보았다. 뿐만 아니라 “그들이 전쟁을 수행한 그곳, 그 마을에 찾아가 아직도 부서진 지체와 깨지고 무너진 마음을 추스르며 생을 붙들고 있는 그곳 사람들을 만났다.”
작가가 만난 대부분의 사람들은 현재도 그 시간을 살고 있다고 말한다. “오래전 일이라고 제쳐놓고 있다가도 눈에 담기고 몸으로 겪었던 그날의 일들이 뜬금없는 상황에서 불쑥불쑥 재생”된다는 것. “그들의 몸 안에서 그 전쟁이 무한 반복 재생”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소설은 베트남어학과 대학원생인 ‘이나’가 시급이 꽤 높은 알바 자리를 소개받고 찾아가는 것으로 시작한다. 편의점이나 카페, 도서관 알바와는 비교도 할 수 없는 금액을 준다는 말에 솔깃해 찾아간 이나는 구자성이라는, 휠체어를 탄 노인과 만나 구술 기록 계약을 맺는다. 죽기 전에 어떻게든 자신의 인생을 정리하려 한다는 구자성이 제시하는 계약 조건은 다소 황당하고 부담스럽다. 자신이 잘못돼 죽지 않는 한 중간에 그만둘 수 없고, 만일 중간에 그만두면 자신이 지불한 돈의 열 배를 물어야 하며, 구술한 내용을 절대 외부에 발설하지 말 것과 동남아 여행에 동행할 것 등이다.
그렇게 해서 구술 작업을 시작했지만 구자성의 입은 종종 닫히기 일쑤여서 이나는 과연 이 일을 계속할 수 있을 것인가 걱정과 우려가 앞선다. 그럼에도 지방신문 신춘문예 당선 작가이기도 한 이나는 구자성이라는 결코 쉽게 만날 수 없는 캐릭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