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4
경기권
1 강화도_저어새를 온전히 키워 내는 풍요로운 갯벌 12
2 공릉천_ 새들의 이야기가 굽이굽이 흐르는 물줄기 18
3 국립(광릉수목원_ 500년 역사를 간직한 신비로운 숲 24
4 송도·시흥_ 갯골 새들에게서 전해 듣는 개발의 고통 30
5 시화호_ 죽음의 호수에서 큰고니의 호수로 36
6 화성 습지_ 간척 시대를 지나 도요새의 쉼터로 42
7 소청도_ 국내 최대 맹금류 경유지 48
8~30 추천 탐조지 54
강원권
31 철원 평야_ 분단의 아픔마저 잊게 하는 두루미의 낙원 62
32 고성 해안_ 통일의 염원을 품은 바닷새의 고향 68
33 속초 해안_ 산과 바다, 사람과 새가 하나 되는 곳 76
34 강릉 해안_ 새들의 신비로운 날갯짓으로 가득한 바다 82
35~43 추천 탐조지 90
충청권
44 대호·석문 방조제_ 바다와 호수를 가르는 새들의 놀이터 96
45 천수만_ 기러기 소리가 새벽을 깨우는 곳 102
46 신진도_ 희귀한 새들도 쉬어 가는 보물섬 110
47 외연도_ 먼 길 날아온 새들을 품어 주는 섬 116
48 유부도_ 쫑찡이들의 영원한 안식처 122
49 금강 하구_ 빛나는 물결 위에서 펼쳐지는 가창오리 군무 128
50~58 추천 탐조지 134
경상권
59 포항 해안_ 생선 비린내마저 정겨운 갈매기 천국 140
60 우포늪_ 따오기가 노니는 원시 습지 146
61 주남저수지_ 사람에게도 새에게도 보물 같은 물터 152
62 낙동강 하구_ 강과 바다를 잇는 생명의 고리 158
63 울릉도·독도_ 동쪽 끝에 뿌리내린 또 하나의 대한민국 164
64~70 추천 탐조지 170
전라권
71 어청도_ 맑은 물빛으로 새들을 비추는 곳 174
72 고창 갯벌_ 살아 숨 쉬는 생태 도시의 뿌리 182
73 영암호·금호호_ 겨울새가 쉬어 가는 땅끝 호수 188
74 강진만_ 큰고니와 어우러지는 가족 탐조지 194
75 순천만_ 흑두루미와 함께 이루는 갯벌의
오늘 바라보는 ‘새가 있는 풍경’이 부디 내일도 펼쳐지기를
우리나라는 산림, 바다, 하천, 습지, 갯벌 등 다양한 자연 환경이 나타나며, 위치 또한 동아시아-대양주 철새 이동 경로에서 중간 기착지로 삼기에 알맞아 새들이 살거나 들르기에 매우 좋은 여건입니다. 그래서 전국 방방곡곡이 탐조지라 할 만합니다.
탐조(探鳥 또는 버드워칭(Birdwatching은 자연에서 새를 방해하지 않고 관찰하는 활동입니다. 특히 영국과 미국, 일본에서 활발하며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도 탐조를 즐기는 사람이 늘고 있습니다. 탐조인(버드워처, 버더이 많아진다는 것은 반가운 일입니다. 무분별한 개발에 따른 환경 오염 및 파괴로 많은 새가 서식지를 잃어 멸종 위기에 처한 상황에서 새에 관심을 갖는 사람이 늘면 그만큼 새와 서식지를 지킬 방법을 고민하는 사람도 많아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편 염려스러운 점도 있습니다. 새가 살거나 찾아오는 곳은 대개 환경이 잘 보전된 곳입니다. 그런 곳에 생김새가 다양한 새까지 깃드니 풍경이 아름다워지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지요. 그래서인지 이따금 ‘새를 방해하지 않고 관찰한다’는 탐조 철칙을 깨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사람에 따라서는 새보다는 탐조지 풍경 자체에 더욱 관심이 갈 수도 있습니다. 다만 생명체로서 새를 존중하지 않는다면 피사체로서 새는 애초에 존재할 수 없다는 점을 꼭 알아 주면 좋겠습니다.
이 책에는 ‘새 연구자들’이 오랜 세월에 걸쳐 쌓은 탐조지 정보가 가득합니다. 설령 탐조를 해 본 적이 없는 사람이더라도 쉽고 즐겁게 관찰할 수 있는 방법을 꼼꼼하게 정리해 놓았습니다. 하지만 이 책에 담긴 것이 생생한 정보만은 아닙니다. 역시나 오랫동안 수많은 곳에서 새를 관찰하며 즐거움과 괴로움을 함께 느껴 온 ‘새를 아끼는 사람들’의 간절한 마음도 꾹꾹 담겨 있습니다.
그렇기에 이 책은 우리나라 어디에 어떤 새가 살거나 찾아와 얼마큼 아름다운 풍경을 이루는지를 알리는 동시에, 새가 살 수 없는 곳에서는 사람도 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