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직업으로서의 과학
1. 학자라는 직업의 외적 조건들 11
2. 과학에의 내적 소명 27
3. 과학의 운명과 의미문제 37
4. 합리화 과정과 과학 40
1 주지주의적 합리화 40
2 근대과학과 의미의 문제 43
5. 과학과 가치판단 57
1 강단과 정치 57
2 가치다신주의 시대와 과학 62
3 교사와 지도자 67
4 과학의 실천적 의미 70
6. 맺음말: 시대의 운명을 직시하고 일상의 요구를 완수하라! 83
Ⅱ. 직업으로서의 정치
강연을 시작하며: 그 대상과 범위 89
1. 정치와 국가, 지배 그리고 행정 90
1 정치와 국가 90
2 지배와 정당성의 근거 93
3 행정과 행정스태프 98
2. 정치가와 관료 102
1 근대국가의 형성과 직업정치가의 출현 102
2 정치가의 유형 105
3 직업으로서의 정치 108
4 근대 전문관료층의 발달 115
5 전문관료층과 군주 그리고 의회 120
6 관료의 두 유형: 전문관료와 정치관료 121
3. 직업정치가의 주요 유형 125
1 성직자, 문인, 궁정귀족, 젠트리, 법률가 125
<보론> 관료와 정치가 135
2 선동가와 저널리스트 136
4. 근대적 정당과 직업정치가 142
1 근대적 정당의 발달사 142
2 현대의 정당과 직업정치가 149
a. 영국의 정당조직 153
b. 미국의 정당조직 160
c. 독일의 정당조직 167
5. 직업정치가의 자질: 열정, 책임감, 현실감각 177
6. 정치와 윤리 182
1 윤리란 무엇인가 182
2 절대윤리와 정치가 186
3 신념윤리와 책임윤리 191
4 정치윤리에 대한 종교의 입장 198
5 정치의 윤리적 역설 206
6 다시 한번 신념윤리와 책임윤리: 배타적인가 상보적인가? 208
강연을 마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철학을 견지하라! 215
해제: 직업과 인격 그리고 근대 219
참고문헌 256
인용문헌 259
옮긴이의 말 273
인명목록 280
사항 찾아
근대 시민계층의 직업윤리로서 ‘과학’과 ‘정치’에 대해 논구하다
이처럼 ‘직업으로서의 과학’과 ‘직업으로서의 정치’는 철학적 텍스트라는 점에서, 그리고 근대세계에서의 직업의 문제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상호 밀접한 관계에 있다. 그런데 이 두 들과 밀접한 관계에 있는 글이 또 하나 있으니, 그것은 다름 아닌 1904~05년에 나온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이다. 물론 이 저작은 철학적 텍스트가 아니라 경험과학적 텍스트라는 점에서, 구체적으로 말해 금욕적 프로테스탄티즘과 근대적 자본주의의 정신 사이의 인과적 의의에 관한 문화사적 연구라는 점에서 ‘직업으로서의 과학’이나 ‘직업으로서의 정치’와는 명백히 구별된다. 그러나 서구 근대 경제 시민계층의 직업윤리를, 즉 직업으로서의 경제를 그 인식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는 이 두 글과 분명히 공속적인 관계에 있다. 따라서 이를 도식적으로 표현하면, ‘직업으로서의 경제 ? 직업으로서의 과학 ? 직업으로서의 정치’로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직업으로서의 경제, 직업으로서의 과학, 그리고 직업으로서의 정치는 근대세계의 문화적-윤리적 기초를 이룬다 왜냐하면 직업이야말로 주체적이고 자율적이며 자기책임적으로 행위하는 인간들에게 개인적 삶의 이상과 사회적 요구를 결합할 기회와 장(場을 제공해주기 때문이다.
먼저 자신의 직업인 과학에 관한 한, 베버는 전(全인격적이고 인본주의적인 교육과 교양 그리고 규범적이고 정치적인 가치판단의 시대는 지나갔다고 진단한다. 그보다 전문적인 자격을 갖춘 학자가 전문적인 연구와 교육을 통해 근대세계와 근대인의 삶과 행위, 그리고 사회관계와 사회질서에 적합한 문화자본을 축적하고 전수하는 것이야말로 직업으로서의 과학에 주어진 과제이다. 그리고 정치에 관한 한, 베버는 “지적으로 흥미로운 것에 대한 낭만주의” 대신에 직업으로서의 정치의 존재와 의미를 역설한다(이 낭만주의는 당시 독일의 지식인들 사이에 널리 퍼진 풍조로서 “거기로부터는 아무런 결과도 나오지 못하고 또 거기에는 그 어떤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