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1부 전환시대의 정치경제학과 사회이론
1장 금융시장 자본주의의 구조와 특성
1. 힐퍼딩의 금융자본주의/ 2. 금융시장 자본주의/ 3. 주식시장의 기능: 자본화/ 4. ‘주인-대리인’ 문제와 기회주의/ 5. 새로운 주주: 투자기금/ 6. 경계적 역할: 애널리스트/ 7. 전달 메커니즘: 기업의 금융화/ 8. 글로벌 벤치마킹: 기업경영권시장/ 9. 의도하지 않은 결과: 스톡옵션/ 10. 금융시장 자본주의의 특성
2장 포스트포드주의로의 전환과 유연한 자본주의
1. 포스트포드주의로의 전환/ 2. ‘달러-월스트리트-체제’에 기초한 신 세계질서/ 3. ‘금융자본 주도의 유연한 축적체제’와 신경제의 모순구조/ 4. 금융자본 주도의 축적과정에 대한 함의와 평가
3장 금융시장 자본주의 아래서 기업지배구조와 노사관계
1. 문제제기: 기업지배구조의 변화/ 2. 금융시장 자본주의와 기업지배구조의 변화의 배경/ 3. 주주가치와 기업지배구조/ 4. 자본시장의 구조변화: 금융시장 자본주의의 이념형으로서 자유시장경제모델/ 5. 주주가치가 경영과 작업조직에 미치는 결과/ 6. 기업지배구조의 변화에 따른 노사관계의 전망
4장 한국사회에서 신자유주의의 발전단계와 헤게모니 전략
1. 신자유주의,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2. 네오그람시 이론과 헤게모니/ 3. 신자유주의의 도입단계: 자본의 위기관리와 김대중 정부의 등장/ 4. 사민주의적 신자유주의로의 이행: 노무현 정부의 등장/ 5. 권위주의적 신자유주의 혹은 탈 시민적 자본주의로의 이행?/
6. 한국사회에서 신자유주의 발전유형의 보편성과 특수성
5장 세계화와 국제정치경제학
1. 문제인식/ 2. 국제관계에서 IPE의 르네상스/ 3. 네오그람시 이론과 IPE/ 4. 팍스 아메리카나 구조의 해체와 초국적 헤게모니의 형성/ 5. 새로운 세계정치질서로서 다자주의?
6장 국제정치의 사유화 경향과 국민국가의 변화
1. 국제정치 환경의 변화/ 2. 사적인 국제정치의 출현/ 3. 국가
출판사 서평
한국사회의 변화와 발전 동력을 세계사회와 국제정치경제의 맥락에서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비판적 사회이론은 어떤 대안의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을까?
냉전이 종식된 이후 자본주의의 전반적 위기는 다시 체제의 내부에서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대침체(great recession는 금융시장이 지배하는 자본주의의 심연을 보여주었다. 국내외적 경제위기로 인해 중산층이 일자리에서 쫓겨나고 이들의 삶이 붕괴하고 있음에도 (재벌대기업과 투자기관의 수익은 오히려 비약적으로 상승하였으며, 이들의 탐욕은 멈추지 않고 있다. 화폐자본이 ...
한국사회의 변화와 발전 동력을 세계사회와 국제정치경제의 맥락에서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가?
비판적 사회이론은 어떤 대안의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을까?
냉전이 종식된 이후 자본주의의 전반적 위기는 다시 체제의 내부에서 발생하고 있다. 2008년 대침체(great recession는 금융시장이 지배하는 자본주의의 심연을 보여주었다. 국내외적 경제위기로 인해 중산층이 일자리에서 쫓겨나고 이들의 삶이 붕괴하고 있음에도 (재벌대기업과 투자기관의 수익은 오히려 비약적으로 상승하였으며, 이들의 탐욕은 멈추지 않고 있다. 화폐자본이 유가증권의 형태로 실물경제를 대체하면서 증식될 수 있다는 물신주의적 생각은 거품만 만들어냈으며, 이는 국민경제의 근간을 심각하게 훼손하였다. 국가의 적극적인 구제금융조치를 통해서 겨우 자본주의 체제의 위기를 모면할 수 있었지만, 정당, 노조, 시민운동단체와 같은 사회조직들이 금융시장을 제어하지 못하면서 근대의 주체는 스스로 자신의 저항과 행위력을 신뢰하지도 못하면서 노동, 정치, 교육에서 더 많은 자기책임을 강요받고 있다. 사회의 자율적 공간이 축소되고, 분열과 혼란이 가중되는 주된 원인은 사회의 광범위한 경제화에 있다.
이제 모든 사회적 제도는 본질적으로 시장의 명령에 복무해야만 한다. 민주주의, 노동조합, 가족이 완전히 해체되지는 않았지만, 시장의 명령이 지배적인 곳에서 이들의 자율성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