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음양오행(陰陽五行
(1 음양(陰陽
(2 오행(五行
2. 음양적 건물배치
(1 동십자각ㆍ서십자각
(2 일화문ㆍ월화문
(3 협생문ㆍ용성문
(4 건춘문ㆍ영추문
(5 융문루ㆍ융무루
(6 융문당ㆍ융무당
(7 만춘전ㆍ천추전
(8 연생전ㆍ경성전
3. 사신(四神
(1 청룡(靑龍
(2 백호(白虎
(3 주작(朱雀
(4 현무(玄武
4. 천원지방(天圓地方
5. 팔괘(八卦
6. 십장생(十長生
(1 태양
(2 구름
(3 물
(4 소나무
(5 연꽃
(6 학
(7 거북
(8 사슴
(9 불로초
(10 돌
7. 십이지신(十二支神
8. 전각의 상징
(1 강녕전(康寧殿
(2 교태전(交泰殿
(3 집옥재(集玉齋
(4 경회루(慶會樓
(5 자경전(慈慶殿
9. 자경전 꽃담
(1 매화
(2 복숭아
(3 석류
(4 모란
(5ㆍ(6 국화
(7 진달래
(8 대나무
10. 길상문양(吉祥紋樣
(1 무시무종(無始無終
(2 만자문양(卍字紋樣
(3 당초문양(唐草紋樣
(4 박쥐(??
11. 벽사상징(?邪象徵
(1 해치(??
(2 척수(脊獸
(3 잡상(雜像
(4 귀면(鬼面
(5 드므
12. 굴뚝
(1 독립형 굴뚝
(2 일체형 굴뚝
(3 기단형 굴뚝
상징과 문양은 동일한 문화권에서 형성된 풍습이나 제도 속에서 보편성을 얻은 것들을 말한다. 따라서 상징과 문양에는 옛 선조들의 삶과 세계관이 중층적으로 용해(溶解되어 나타난다. 경복궁은 조선왕조의 정궁이자 법궁으로서, 나라의 안녕을 기원하고 왕실의 위엄을 세우는 수많은 상징과 문양을 간직하고 있다. 따라서 경복궁의 상징과 문양에 대한 접근은 우리 민족의 내면적 정체성에 대한 탐구라고 할 수 있다.
경복궁에는 전각과 연못을 비롯하여 기와ㆍ창호ㆍ담장ㆍ조각ㆍ가구 등 실용적인 부문에 이르기까지 다방면에 걸쳐 상징과 문양이 장식되어 있다. 상징과 문양에 내재된 멋과 가치를 음미하는 과정이야말로 경복궁을 넘어 전통시대 생활문화 전반을 이해하는 과정이다.
일반적인 독서법(讀書法은 책을 읽고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다. 본서는 이러한 방법론을 탈피하여 책을 감상하고 내용을 느끼는 독서법으로 유도하기 위해, 주입식 설명을 지양하고 시각자료와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재구성하였다. 시각자료는 정보의 직관적인 전달을 위한 것이고, 스토리텔링은 인문적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문에 수록된 시각자료만으로도 경복궁에 대한 이해가 상당부분 가능하다. 혹은 경복궁에 직접 방문하여 책 속의 상징과 문양들을 하나씩 확인해 보는 것도 의미 있는 독서의 한 방법이 될 것이다.
본서를 통해 보다 많은 독자들이 경복궁을 쉽고 재미있게 즐길 수 있기를 바란다. 아울러 경복궁에 적용된 상징과 문양의 이해를 통해 우리 민족 내면의 가치를 새롭게 조망하는데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