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5
1장. 왜 직주근접일까요?
직주근접, 미래 주택 시장의 바로미터입니다 13
2030세대는 직주근접 단지를 선호합니다 18
직주근접은 상가도 춤추게 합니다 20
저출산이 도심 집중을 강화합니다 25
MZ세대는 어디에 살까요? 30
기업에는 물어봤나요? 반도체 특화단지 유감 35
하이퍼로컬이 뜹니다! 39
팬데믹 재택근무, 직주근접이 바뀔까요? 43
줌타운(Zoom Town이 뜰까요? 47
직주근접이 왜 중요할까요? 가구 증가율이 위험하기 때문입니다 52
부동산 양극화 한국만의 문제일까요? 56
2장. 어디를 사야 할까요?
주거선호지역은 왜 바뀌지 않을까요? 63
판교, 이제 강남과 경쟁합니다 68
천지개벽, 마곡지구 73
용산은 강남을 넘어설 수 있을까요? 76
삼표레미콘공장이 떠나면 성수동이 좋아질까요? 80
광교로 기업들이 몰려듭니다 83
왜 송도 아파트가 많이 오를까요? 86
세종시, 공공의 직주근접에서 민간의 직주근접으로 91
서울 아파트는 가장 좋은 안전자산입니다 94
서울, 거주인구는 줄었지만 생활인구는 늘고 있습니다 98
서울 아파트의 요새(Gated화 102
일본에서도 계속 오르는 부동산 107
강원도에서 배우는 부동산 투자의 실패학 111
3장. 잘못된 정책
공급 부족이 아니라 필요한 주택이 부족한 것입니다 119
GTX가 뚫리면 경기도 외곽이 좋아질까요? 123
신도시 개발은 빈집만 늘립니다 129
인구 감소보다 청년층 인구 유출이 더 큰 문제입니다 133
실버타운을 짓지 않으면 137
4장. 부동산 투자, 어떻게 할까요?
갈아타기 지금이 최적입니다 145
부동산의 ‘소음’과 ‘신호’를 제대로 파악하는 법 149
부동산 매수는 기술, 매도는 예술입니다 153
당신의 아파트는 누구와 경쟁합니까? 158
아파트 가격의 움직임은 갭 메우기 160
부동산 양극화는 개인의 발전을 부릅니다 164
수요가 늘어나는 부동산에 투자하십시오 169
역세권의 중
미래 부동산 투자의 핵심 키워드,
직주근접의 중요성을 알려주는 책
인구 감소 시대를 극복하는 주거 선택의 기준은 무엇일까? 침체되고 혼란스러운 부동산 시장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부동산 투자의 원칙은 무엇일까? 이 책은 총 5장에 걸쳐 그 답을 찾아본다. 1장 ‘왜 직주근접일까요?’에서는 미래 주택 시장의 바로미터라고 할 수 있는 직주근접의 중요성을 새대, 인구, 기업 문화, 부동산 양극화, 저출산 문제 등 다양한 각도에서 짚어본다. 2장 ‘어디를 사야 할까요?’에서는 주거선호지역이 바뀌지 않는 이유와 더불어 마곡지구, 판교, 용산, 성수동, 광교, 송도, 세종시, 서울, 일본, 강원도 등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어떤 부동산을 사야 할지 살펴본다. 3장 ‘잘못된 정책’에서는 주택 부족 문제, GTX, 신도시 개발, 청년층 인구 유출, 실버타운 등의 측면에서 정책적인 문제점이 무엇인지 짚어본다. 4장 ‘부동산 투자, 어떻게 할까요?’에서는 지금이 부동산 갈아타기의 최적기인 이유, 부동산의 ‘소음’과 ‘신호’를 제대로 파악하는 법, 역세권의 중요성, 상급지로 이동해야 하는 이유 등을 알아본다. 마지막 5장 ‘다시 기본으로’에서는 시황보다는 매물에 집중해야 하는 이유, 집은 소득을 모아 사는 것이 아닌 이유, 아파트 매물이 늘어난다고 가격이 과연 떨어지는지에 대해 생각해본다. 절대 변하지 않는 부동산 투자의 원칙만 제대로 알고 있다면 실패 없는 부동산 투자에 한 걸음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책 속에서
30대는 실수요 성향이 큽니다. 실수요의 경우 비교적 작은 평형을 매입합니다. 서울에서 발생한 전체 거래 중에서 40제곱미터 이상~85제곱미터 이하의 비중은 무려 75.6%에 이릅니다. 물론 제도적 수혜도 있습니다. 특례보금자리론이 대표적입니다. 30대 실수요자들이 주택 시장을 주도하면서 일자리의 중요성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가 조사한 ‘2020 대도시권 광역교통 통행량 조사’에 따르면 직장인의 평균 출근 시간은 52분, 퇴근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