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장 종교개념 및 종교학 성립에 관한 연구현황
1. 서양에서의 ‘종교’/ 2. 비서양에서의 ‘종교’/ 3. 근대일본으로
1부 종교개념의 형성과 근대적 학문과 지식
1장 근대 ‘종교’ 개념의 형성과정
1. 종교라는 번역어의 확립에 이르기까지/ 2. 서양문명으로서의 종교/ 3. 비합리적·사적 영역으로의 종교/
4. 종교학적 담론의 등장/ 맺으며
2장 메이지 20년대의 종교·철학론
1. [비교종교 및 동양철학] 강의/ 2. 동양철학사의 전개/ 3. 분립(分立하는 학문
3장 다중화하는 근대불교
1. 근세에서 근대로/ 2. 다중화하는 불교/ 3. 국가권력과 보편주의
2부 종교학의 성립
1장 종교학적 담론의 위상
1. 종교학의 당면 과제/ 2. 아네사키 마사하루의 종교학/ 3. 사회적 존재로서의 담론
2장 서구의 체험과 내셔널리즘
1. 종교와 국가/ 2. 서양체험과 일본표상/ 3. 동서조화와 그 파탄/ 맺으며
3장 ‘일본 종교학’의 재고
1. 종교학사(宗敎學史의 부재/ 2. 학설사에서 학문사로/ 3. 옴 진리교 사건과 종교 체험론/ 맺으며
3부 신도학의 성립
1장 국가신도에 관한 각서(覺書
1. 연구사 정리/ 2. 국가신도(國家神道의 성립과정
2장 근대 신도학의 성립
1. 국민도덕론/ 2. 신도연구의 구상/ 3. 국민도덕론에서 신도학으로/ 4. 신도학의 좌초(坐礁/ 맺으며
3장 근세 신도에서 근대 신도학으로
1. 신도 사상의 재생/ 2. 신도학의 위치
종장 지금, 천황제를 재고하는 의미
후기 포스트콜로니즘 상황에서의 종교연구
역자후기/ 색인
출판사 서평
서구의 종교 개념 수용과 일본의 종교와 종교학의 성립
일본 근대 역사의 성립과정을 종교 개념이라는 담론으로 밝히고 있는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종교개념의 형성과 근대적 학?문과 지식’에서는 근대 종교개념의 형성과정과 메이지 20년대의 종교, 철학론, 근대불교의 동향에 대해, 2부 ‘종교학의 성립’에서는 종교학적 담론의 위상과 서구의 체험과 내셔널리즘, 일본 종교학의 성립과정에 대해 논하고 있다. 3부 ‘신도학의 성립’에서는 국가신도의 성립 배경과 근세 신도학에서 근대 신도학으로의 전환 과정에 대해 다루고...
서구의 종교 개념 수용과 일본의 종교와 종교학의 성립
일본 근대 역사의 성립과정을 종교 개념이라는 담론으로 밝히고 있는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종교개념의 형성과 근대적 학문과 지식’에서는 근대 종교개념의 형성과정과 메이지 20년대의 종교, 철학론, 근대불교의 동향에 대해, 2부 ‘종교학의 성립’에서는 종교학적 담론의 위상과 서구의 체험과 내셔널리즘, 일본 종교학의 성립과정에 대해 논하고 있다. 3부 ‘신도학의 성립’에서는 국가신도의 성립 배경과 근세 신도학에서 근대 신도학으로의 전환 과정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일본인의 주체형성 문제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역작인 이 책은 서양이라는 타자를 통해 지금의 일본 종교와 종교학이 어떻게 탄생되었고, 그 과정에서 일본인이라는 주체가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종교학·역사학적으로 접근하고 있다.
한국 독자는 일본의 종교를 ‘한국의 종교’, 주체 형성에 있어 일본인이 아닌 ‘한국인’을 염두에 두고 이 책을 읽어 내려간다면, 한국의 근대 종교와 한국인의 주체 형성에 근접할 수 있는 단서를 찾게 될 것이다.
[옮긴이의 말에서]
책속으로 추가
이 장에서는 메이지시대의 대표적 철학자인 이노우에 데쓰지로(井上哲次?가 도쿄제국대학(東京帝國大學에서 강의한 [비교종교 및 동양철학(比較宗敎及東洋哲學]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이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