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이기는 정치학 : 현실주의자의 진보집권론
저자 최병천
출판사 메디치미디어
출판일 2024-01-31
정가 20,000원
ISBN 9791157063338
수량

책을 펴내며

1부 가슴이 너무 뜨거워지면 상대방 선거운동을 도와준다
중도에 대한 진보의 네 가지 통념 / 국가보안법 폐지: 한나라당의 압승을 도와주다 / 최저임금 1만 원: 촛불연합의 1차 이탈 / 무상급식: 국힘 계열도 민주당 선거운동을 도와주다 / 유승민 찍어내기와 진박 공천 논란: 탄핵 사태의 시작

2부 종부세는 ‘정권 교체 촉진세’였다
증세의 정치학: 세계 정치사와 한국 정치사 / 주택분 종부세: 4년 만에 대상자는 3배, 세액은 14.7배가 늘어나다 / 미국 보유세와 한국 보유세의 7가지 차이점 / 종부세는 ‘정권 교체 촉진세’였다

3부 세대교체는 나이 교체가 아니라 세계관의 교체다
세대교체는 어떻게 작동하는가? / 이준석-천하람 돌풍, 왜 민주당에는 없는 것일까? / 민주당 97세대는 ‘세대교체 주역’이 될 수 있을까?

4부 역대 선거 결과로 보는, 87년 이후 정치 구도
87년 이후, 9번의 총선 결과로 보는 정치 지형 / 87년 이후, 8번의 대선 결과로 보는 정치 지형 / 총선과 대선의 승패를 갈랐던 세 가지 요인

5부 민주당 정부는 촛불연합을 어떻게 외면했는가?
촛불혁명인가 vs. 촛불연합인가 / 촛불연합은 왜 해체되었나? / 민주당에 합류했다가 이탈한 사람들은 누구인가? / 문재인 정부는 ‘진보판 3당 합당’을 추진했어야 한다: 다시 촛불연합의 시점으로 돌아간다면 / 촛불연합은 ‘3당 합당 구도’의 균열: 부산·경남을 중심으로

6부 한국 정치, ‘진보 우위 시대’는 끝났다
중도는 누구인가? / 지난 10년간, ‘진보 우위 시대’는 잊어야 한다 / 총선 판세 예측 : 민주당은 얼마나 불리한 것일까?

7부 2024년 총선에서 승리하려면: 3+7 전략
‘불리한 판세를 뒤집은’ 선거의 교과서①: 2012년 박근혜 비대위 / ‘불리한 판세를 뒤집은’ 선거의 교과서②: 2016년 문재인-김종인 비대위 / 2024년 총선 승리를 위한 3+7 전략

나가며 2027년 대선을 위해: ‘유능한 민주당’
‘운동권 세계관’ 대신 현실주의 진보정치학을 고민한다
‘정치를 통해 좋은 세상 만들기’를 하려면 두 가지가 필요하다. 하나는 권력을 잡아야 한다. 다른 하나는 솔루션을 갖고 있어야 한다. 전자는 정치공학이다. 후자는 정책공학이다.
전작이었던 《좋은 불평등》은 ‘정책공학’을 다룬 책이다. 《이기는 정치학》은 ‘정치공학’을 다룬다. 한국정치사에서 민주당 계열이 행정부와 입법부를 동시에 잡은 것은 딱 두 번이다. 2004년 총선 이후 노무현 정부, 2020년 총선 이후 문재인 정부다. 두 번 모두 ‘대통령 탄핵’이라는 초대형 사건이 발생했고, 진보진영에 유리한 정치환경이 조성됐다.
민주당 계열이 행정부와 입법부를 동시에 장악하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두 번 모두 정권교체를 당했다. 왜 이런 일이 반복되는 것일까? 저자는 민주당의 지도부, 국회의원들, 진보언론, 진보계열 시민단체, 핵심 지지층에 이르기까지 ‘80년대 운동권 세계관’에 갇혀 있기 때문이라고 이야기한다.
《이기는 정치학》은 좋은 정치를 꿈꾸는 시민들과 정치 행위자들이 볼만한 ‘현실정치 교과서’를 목표로 한다. 현실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영역은 선거다. 기업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존재하는 조직 중 가장 효율적인데, 그 이유는 KPI(핵심성과지표가 분명한 조직이기 때문이다. 정당과 시민운동의 가장 큰 차이점도 정당은 KPI가 분명한 조직이라는 점이다. 정당의 핵심성과지표는 ‘선거 승리’ 여부다.
《이기는 정치학》은 한국 정치의 주요 사건과 정책들을 ‘선거’라는 프레임과 연동해서 살펴본다. 문재인 정부의 종부세(종합부동산세가 왜 결국 ‘정권교체 촉진세’가 되고 말았는지, ‘세대효과’ 개념을 중심으로 민주당에는 왜 이준석-천하람같은 청년 정치인이 없는지 그런 현상들을 추적하고 분석한다. 또한 1987년 민주화 이후 9번의 총선과 8번의 대선을 분석해서 선거승리의 3대 요인―분열, 반사이익, 중도확장―을 정리한다. 문재인 정부 시기에 탄핵 촛불연합(진보+중도+개혁보수이 어떻게 ‘촛불혁명’ 담론에 밀려 결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