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판 출간에 부쳐
프롤로그
제0장. 『재일조선미술가화집』에 관하여
1. 외관 ― 사이즈와 표제
2. 목차와 수록 작품 목록
3. 본문 ―화집에 수록된 텍스트의 분석
4. 수록 작품의 특징
테마 | 모티프 | 사실성
제1장. 시동의 에너지
1. 고유한 경험의 축적 ―1940년대 후반부터 1953년까지
‘재일조선미술가협회’의 결성 | 일본 공모전 참여 |
미술학교에서 만난 두 화가, 표세종과 성리식 |
미술교사로 활약한 박사림 | 만화가 전철의 탄생 비화
2. 고유한 경험의 합류 ―‘재일조선미술회’의 결성
‘재일조선미술회’의 결성 | 활동의 구심이자 동력이었던 화가 김창덕
제2장. 무엇을, 어떻게 창조할 것인가
1. ‘민족미술’의 추구
토론의 시작 ―김창락의 원체험 | 백령과 초현실주의 |성리식과 모더니즘
2. 《순회전》 개최의 기쁨과 이후의 전개
전시의 성사 과정 | 개최 후의 혼란
제3장. 공통 테마와 ‘사실’ ― 토론에서 제작으로, 그리고 발표로
1. 토론과 제작
토론 | 제작 | 테마1 ‘재일조선인의 생활’ | 테마2 ‘귀국’ |
테마3 ‘남조선의 구국투쟁
2. 전시와 반응
《9·9전》 | 《제12회 일본앙데팡당전》 |
《8·15 조국해방 기념미술전》
제4장. 《연립전》, 이국땅에서 분단을 넘어서다
1. 개최까지의 과정
한반도 분단과 재일조선인 | 《연립전》 전사前史
2. 예술가의 ‘통일’을 목표로 한 활동의 궤적
《제1회 연립전》의 개최 경위와 기간, 참가 단체 |
《제2회 연립전》의 개최 경위와 기간, 참가 단체 |
출품 작가와 작품
3. 따뜻했던 교류와 급속한 냉각
상호교류의 활성화 | 성공에 따른 여파
4. 정리
제5장. 일본인 미술가와의 접점
1. 개인전 개최와 일본 공모전 참여
이과회 | 행동미술협회 | 일본청년미술가연합 |
일본판화운동협회 | 일본노동만화클럽 | 기타
2. 《일본앙데팡당전》 출품
일본미술회의 창립 | 《일본앙데팡당전》 개최 |
조
재일조선인 3세가 수집하고 기록한 첫 ‘재일조선인미술사’
해방 후에도 일본에 남아야 했던 약 60만 명의 ‘조선인’은 ‘일본 국적’을 일방적으로 박탈당하고 ‘무국적자’ 상태가 되었다. 그들은 옛 종주국의 차별과 분단된 조국의 현실, 정체성의 혼란과 같은 여러 질곡 속에서도 자신들의 삶과 문화를 지켜내며 살아가고 있다. 재일조선인 3세로 태어나 미술을 전공한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지금껏 조명된 적 없는 선대 미술가들의 역사를 찾아가는 동시에 실존을 걸고 자신의 뿌리를 밝히고자 했다. 번역자이자 학문적 동지인 노유니아가 말했듯 스무 살 무렵까지 일본의 공적 교육 기관에 적을 둔 적이 없었던 그녀가 ‘국립’ 대학의 합격증을 손에 쥐기까지, 그리고 일본 최고 수준의 ‘제도권’ 교육기관에서 재일조선인들의 미술사 연구로 인정받기까지의 도정은 결코 쉽지 않았다. 이 책은 저자가 20년간 걸어온 노력과 인내의 산물이다.
문학계와 역사학계에서, 또한 최근의 디아스포라 문화 담론에서 재일조선인(재일코리안의 흔적을 뒤쫓는 연구가 축적되고 있다. 하지만 다른 문화 영역에 비해 미술 관련 연구는 몇몇 작가에 한정된 단편적인 연구에 그쳤다. 더구나 해방 직후의 재일조선인이 펼친 미술 활동은 거의 암흑 속에 놓인 상태다. 이 책에서 다룬 재일조선인의 작품 대부분은 “이런 힘든 시기에 무슨 미술이야?”라는 말을 듣던 시대에 창작되었다. 미술가가 살아온 삶의 증명이 미술이라고 할 때, 자신들의 존재 가치마저 부정되었던 시기였던 셈이다. 이 책의 부제를 ‘미술가들과 표현 활동의 기록’이라고 붙인 까닭은 여기서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거장과 걸작, 주류의 가치관을 넘어선 ‘생활의 미술사’
대부분의 미술가들에게 미술 활동은 생활의 연장선이기에 미술가들의 표현 활동을 이야기한다는 것은 곧 재일조선인의 삶을 밝힌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그렇기에 저자는 “분석 대상으로 다룰 미술 작품이 감상할 만한 가치가 있는가?” 하는 미술 내적인 기준과 문제에 주안점을 두지 않는다고 당당하게 선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