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안학江岸學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 낙안학洛岸學[낙동강 연안학]을 중심으로
1. 기본 구상
2. 삼간론三間論과 지리 공간
3. 낙동강 700리설과 강안학
4. 강안학의 개념 재정비
5. 강안학 연구의 주제들
6. 21세기와 강의 상상력
강안학江岸學의 학문 정체성과 몇 가지 문제점 검토
1. 강안학의 선행연구 검토
2. 강안학의 학문 정체성 가설
3. 명체적용明體適用의 학문 경향
4. 자득적自得的 학풍 경향
5. 강안학의 정명正名 문제
낙중학의 성과와 과제
1. ‘낙중학’이 걸어온 길
2. 낙중학의 제기와 그 배경
3. 낙중 지역 시기별 학파의 등장과 계승의식
4. 낙중학의 철학적·실천적 특징
5. 과제
낙동강 강안 지역의 사부류 편찬과 역사학적 의의
1. 머리말
2. 강안 지역의 사부 편찬물
3. 강안 지역 사부 편찬물의 특징
4. 맺음말
낙동강 연안의 누정제영 창작과 그 의미 ― 구미 선산의 매학정梅鶴亭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구미 선산지역 낙동강 연안의 누정 분포와 제영시
3. 매학정의 건립과 역사적 자취
4. 매학정 제영시 창작자와 작품 현황
5. 문학적 소통 공간으로서의 매학정과 그 의미
6. 맺음말
낙동강 연안의 구곡문화와 그 특징 ― 낙동강 중류 지역을 중심으로
1. 들어가며
2. 낙동강 연안 구곡문화의 양상
3. 낙동강 연안 구곡문화의 특징
4. 나가며
낙동강 연안 선유시회船遊詩會의 한 양상 ― <금호선사선유琴湖仙査船遊>를 대상으로
1. 머리말
2. 선유시회의 분석틀: 개인 체험과 공동 체험의 시화詩化
3. 선유시를 중심으로 본 선유시회의 한 양상: 금호선사선유
4. 마무리
한강학寒岡學의 호서湖西 확장과 황종해黃宗海의 계승의식
1. 머리말
2. 한강학의 호서湖西 확장: 정구의 목천우거木川寓居와 호서권 ‘한강문파寒岡門派’의 형성
3. 정구鄭逑와의 학연과 한강학파寒岡學派 편입
4. 연원의식의 확대 및 강화: 영남학에 대한 위도의식衛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