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사 _ 이원택
추천사 _ 조태영
작가의 글
헌사
1. 북관 조선인들의 대탈출
1869년, 기사년이 조선족 역사의 시작이다 | 간도에도 치열한 교육주도권 쟁탈이 있었네
2. 1919년 용정 3·13만세시위와 북간도 무장독립투쟁
용정 3·13만세시위를 일으킨 조선인디아스포라와 순국열사들 | 실패한 거사 철혈광복단의 15만원탈취사건 | 신민단, 도독부, 간도국민회, 대한독립단의 봉오동전투 | 청산리전투를 알면 궁금증이 생긴다 | 홍범도의 연합부대는 왜 청산리로 갔을까? | 1920년 간도대토벌과 경신대학살 참상
3. 숨겨진 무명의 지도자들
안중근 의사의 배후 지도자, 항일투사 김치보 연보 | 캐나다장로회선교부 파송 북간도 선교 개척자 김계안 조사 | 북간도 독립운동가 구춘선, 황병길, 이동춘의 연보와 공통점 | 자이니치 시무(時務의 역사학자 강덕상 스토리
4. 캐나다장로회 교회와 북간도 독립운동
북간도 독립운동을 추동한 캐나다장로회 교회들과 설립자들 | 불령선인(不逞鮮人의 책원지 장암동교회 | 조선독립운동을 지원한 용정 제창병원
우리는 왜 북간도에 가는가?
“종교 지도자들의 초아의 봉사와 섬김이 나라를 잃은 망국의 백성들에게 새 세상에 대한 희망과 비전이 됨을 보았다. 이렇듯이 북간도는 나의 정신세계와 역사 인식에 한 획을 그어주었으며 나에게 살아 있는 역사의 원전이 되었다.”
홍범도 장군에 대한 정치권의 논란이 그동안 우리의 관심에서 멀어졌던 북간도를 다시 돌아보는 계기가 되었다. 때마침 쉽게 풀 수 없는 매듭이 꼬여 있는 것 같은 우리 근현대사를 제대로 바라볼 수 있는 데 도움을 주는 책이 나왔다. 이옥희의 『뜻으로 읽는 북간도 독립운동 이야기』는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북간도 독립운동과 교회의 역사를 정면에서 다루고 있다.
1부는 함경도 조선인들의 대탈출을 다룬다. 2부는 용정 3·13만세시위와 북간도에서 있었던 독립무장투쟁을 기술한다. 3부는 숨겨진 무명의 지도자들에 대한 이야기다. 4부는 캐나다장로회 교회와 북간도 독립운동의 관계를 밝힌다.
이념과 신앙이 충돌하는 이 복잡한 역사의 현장을 끈질기게 매달린 결과, 크리스천인 저자를 종종 회의와 절망에 빠트렸던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담론으로부터 해방될 수 있었다. 이념과 사상은 영원한 것도 진리도 아니기에, 종교 지도자들의 초아의 봉사와 섬김이 나라를 잃은 망국의 백성들에게 새 세상에 대한 희망과 비전이 됨을 전하는 것으로 북간도의 역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정립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1869년 기사년, 조선족 역사의 시작
“조선족 역사에 관한 모든 서적들이 조선족의 본격적인 역사는 1869년 기사년 자연재난 이후 당시 조선 왕조의 적지 않은 백성들이 기근을 피하여 만주지역으로 대거이주하면서 시작되었다고 밝히고 있다. 1869년에 이어서 3년 사이에 이주한 조선인은 함경도 주민 2만6천 명을 포함하여 약 6만 명이었다.”
저자는 다양한 자료를 통해 조선족 기원이 조선 사회 병폐였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 결국 기사년이 ‘조선족’을 낳은 것이다. 이는 기사년에 기아에 직면한 백성들을 방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