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의 말
1장 그럴 수 없이 고맙고 기쁘다
지천의 세상 / 더디게 오는 봄 / 머위꽃 / 도장지 / 복수초 / 봄까치꽃 / 영춘화 / 개구리를 캤다 / 새 둥지 / 꽃이 사람이다 / 자신의 고결을 말해주듯이 ― 민들레 1 / 새봄에 온 가인 ― 미선나무 / 가야 할 길 / 시화 거리
2장 봄이 와서 기쁘냐, 나도 기쁘단다
깽깽이풀 / 새삼스럽다는 것 / 아이리스를 옮기다 / 문학관의 벽화 / 마당을 쓸었습니다 / 문학관 옆집 산목련 / 창밖의 손님 ― 노간주나무 / 얘들아, 좋은 봄날이야 ― 민들레 2 / 특별한 해후 ― 꽃마리 / 할미꽃 / 광대나물 / 가슴 울렁거리는 황홀 ― 명자꽃 / 히아신스 / 꿈을 꾼 듯 속아 넘어간 듯 ― 벚꽃 / 개나리
3장 너를 두고 내가 어찌하면 좋으랴
오랑캐꽃이거나 앉은뱅이꽃 ― 제비꽃 / 바라보기만 해도 안쓰러운 ― 앵초꽃 / 새봄의 전령 ― 진달래꽃 / 나를 잊지 마세요 ― 물망초 / 빙카 마이너 / 매발톱 / 양지꽃 / 황매화 / 금낭화 / 가장 좋은 때 / 새봄의 귀공자 ― 자목련 / 장구채꽃 / 모란 / 등꽃
4장 다시 꽃 필 날 기다려도 좋을까
디딤돌 / 자란 / 나비가 없다 / 이런 골목길 / 귀하신 손님 / 이것도 꽃이다 ― 안개초 / 단풍나무 씨앗 ― 시과 / 개구리를 만났다 / 능소화 / 어성초 / 으아리 / 보리수나무 / 전신주 아래 / 피아노 소리 때문에 ― 그 여자네 집 / 이제부터는 여름이다 ― 부레옥잠
“얘들아, 좋은 봄이야. 너희들이 추운 겨울을
벌벌 떨면서 지켜주고 견뎌줘서 찾아온 봄이야.
이 좋은 봄날 한철 예쁘게 꽃을 피우면서 잘 놀다가 가거라.”
머위꽃을 볼 때부터
부레옥잠을 만날 때까지의 기록
차별 없는 생명의 소중함
나태주 시인에게 꽃은 사심 없이 좋아하고 사랑할 수밖에 없는 대상이었으며 꽃을 통해 많은 시가 태어났다. 이 산문집도 머위꽃을 볼 때부터 부레옥잠을 만날 때까지의 기록이다. 시인은 풀꽃문학관 빈터에 꽃을 심고 가꾸면서 생애 가운데 가장 많이 들일을 하며 산 날들이었고 그러면서 많은 것을 배우고 새롭게 깨달았다고 말한다.
“해마다 봄은 쉽게 오지 않는다. 멀리서 망설이면서 더디게 더디게 온다. 발자국 소리만 들려준다든가 숨소리만을 미세하게 들려주다가 어느 날 벼락 치듯 달려온다. 아니, 온 세상을 덮어버린다. 올해의 봄은 또 그렇게 올 것이다.”
더디게 오는 봄을 기다리던 나태주 시인은 봄꽃으로 가장 먼저 돌담 위에 핀 머위꽃을 만난다. 그리고 “올해도 내가 살아서 봄의 사람인 것이 그럴 수 없이 고맙고 기쁘다”라고 말한다. 1년을 기다려 다시 찾아온 봄꽃을 통해 살아 있음의 기쁨을 느낀 것이다.
“살아 있는 모든 생명은 살아 있는 생명 그 자체로서 기쁘고 즐겁고 행복하고 또 가장 좋은 때가 아니겠는가.”
나태주 시인은 생명의 소중함을 여러 차례 언급한다. 그리고 “우리 문학관에서는 흔한 풀꽃조차도 귀한 가족과 같은 존재로 대접받는 경우가 많다”, “‘문학관에 와서 시인 말을 듣지 않고서는 풀을 뽑지 마시라’는 말이고 ‘품으려고 하면 잡초도 꽃이고 베려고 하면 꽃도 잡초다’라는 말이다” 등에서 알 수 있듯이, 그 생명에는 차별이 없다. 시인은 겨울잠을 자는 개구리를 캐었다며 미안해하고, 꽃이 피면 날아드는 나비와 꿀벌이 보이지 않아 안타까워한다. 꽃 피는 시기가 점점 빨라지고 열매를 맺지 않는 것도 기후 변화로 인해 “모든 생명체가 살아남기 어려운 세상”이 되었기 때문이라며 깊은 우려를 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