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작하며 노마 히데키, 백영서
표지 해설 노마 히데키
표지 그림 작가의 말 이상남
제1부 한국어권에서 읽다
강태웅 姜泰雄 | 일본 영상·문화 연구자
구자영 具滋榮 | 미디어 아티스트
권영필 權寧弼 | 미학자
권재일 權在一 | 국어학자
김병익 金炳翼 | 국문학자
김병종 金炳宗 | 화가
김승현 金昇賢 | 색채 디자이너
김연수 金衍洙 | 소설가
김영훈 金榮勳 | 인류학자
김옥영 金玉英 | 다큐멘터리 작가
김우창 金禹昌 | 인문학자
류현국 劉賢國 | 활자학자
박영택 朴榮澤 | 미술평론가
백낙청 白樂晴 | 문학평론가
백민석 白旻石 | 소설가
변순철 邊淳哲 | 사진가
신경숙 申京淑 | 소설가
양세욱 梁世旭 | 중문학자
오은 吳銀 | 시인
윤범모 尹凡牟 | 미술사학자
이강백 李康白 | 극작가
이상협 李?協 | 아나운서
이은주 李恩珠 | 번역가
이자람 李자람 | 가수, 공연예술가
이장욱 李章旭 | 시인, 소설가
장진성 張辰城 | 미술사학자
정병모 鄭炳模 | 미술사학자
정신영 鄭新永 | 미술비평가
정한아 鄭漢娥 | 시인
조규희 趙규희 | 미술사학자
진은영 陳恩英 | 시인
최경봉 崔炅鳳 | 국어학자
최기숙 崔基淑 | 국문학자, 소설가
최욱 崔旭 | 건축가
허형만 許炯萬 | 시인
홍윤표 洪允杓 | 국어학자
황두진 黃斗鎭 | 건축가
제2부 일본어권에서 읽다
가쓰라가와 준 桂川潤 | 디자이너
강신자(교 노부코 姜信子 | 작가
강희봉 康熙奉 | 작가
고시마 유스케 光嶋裕介 | 건축가
구와하타 유카 桑畑優香 | 작가
김성민 金成玟 | 문화사회학자
김세일 金世一 | 배우, 연출가
나리카와 아야 成川彩 | 영화 연구자
나카마타 아키오 仲??生 | 문예평론가
나카자와 게이 中?けい | 작가
나카지마 교코 中島京子 | 작가
니미 스미에 新見?美江 | 편집자
다케나카 히데토시 竹中英俊 | 편집자
다케우치 에미코 竹內?美子 | 문학 연구자
다테노 아키라 ?野晳 | 출판평론가, 번역가
도
『한국의 지知를 읽다』 이후 10년,
한일 출판 역사상 초유의 ‘진선미 3부작’ 프로젝트! 그 두 번째 여정.
2014년, 한일 양국의 지식인 140인이 모여 한국의 지혜와 지식, 지성을 탐색하는 초대형 프로젝트가 성사됐다. 기획자는 한글이 지닌 세계문자사적 위치를 밝힌 역작 『한글의 탄생』의 저자 노마 히데키. 그 결과물로 출간된 『한국의 지知를 읽다』(쿠온는 일본에서 제12회 파피루스상을 수상했고 같은 해 한국에서도 번역되어(위즈덤하우스 큰 반향을 일으켰다. ‘한국의 지 프로젝트’의 다음 과제로 찾아나간 것이 바로 ‘한국의 아름다움’이다(노마 히데키가 언어학자의 길을 걷기 전 활동의 출발점이 현대미술가였다는 점도 의미심장하다. 이번에는 역사학과 문화인류학을 포괄한 관점에서 ‘아시아 미 탐험대’ 프로젝트를 이끄는 백영서 연세대 명예교수도 힘을 보탰다.
앞선 책이 광활한 지의 지도를 망원경처럼 보여줬다면, 속편에 해당하는 『한국의 미美를 읽다』는 천변만화하는 미의 요지경과 같은 책이다. 미의 최전선에서 활동 중인 한일 양국 85명의 문화예술인에게 도착한 집필의뢰서 내용을 소개하면 이렇다. “당신이 한국의 미와 스친 순간을 독자와 공유할 수 있도록 책을 소개해 주십시오.” 이번에도 매개체는 역시 ‘책’이다.
필자 중 다테노 아키라(출판평론가, 번역가는 통념적으로 책은 지의 집적체로 여겨지기에 첫 번째 기획에는 큰 고민 없이 응할 수 있었지만, 미와 관련된 책을 추천하려면 우선 자신에게 ‘미’가 어떤 의미이고 범주인지를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집필이 쉽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다. 그리하여 『한국의 미를 읽다』는 ‘미학’과 ‘예술’ 관련 서적을 다룬 서평 모음집에 머무르지 않는다. 85인 필자가 ‘미’를 어떻게 정의하고 바라보고 있는지 저마다의 미적 체험을 독서 체험과 연관시켜 다채롭게 전개하기 때문이다. 이들의 글은 미를 ‘예술(품’이라는 한정된 틀에 가두거나, 시각과 청각, 미각과 같은 감각의 요소에만 직결하는 일에 그치지 않는다. 때로는 일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