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열며 죽음을 탐구하라 _ 명랑하고 심오하게! 004
Intro 죽는 법을 배우라, 그러면 사는 법을 알게 되리라! 016
1장 소크라테스
철학은 죽음의 연습이다
1. 소크라테스의 독배 _ 비극 혹은 지복?
2. 죽음에 대한 변론 1 _ 소멸 아니면 옮겨 감
3. 죽음에 대한 변론 2 _ 삶과 죽음은 순환한다
4. 죽음에 대한 변론 3 _ 영혼은 불멸한다
5. 철학자, 죽음을 탐구하는 존재 _ 로고스의 향연
6. 영혼을 잘 돌보라, 선과 지혜로! _ 윤리적 축의 대전환
7. 최후의 말, 최고의 선물 _ “수탉 한 마리를 빚졌으니 갚아 주게나”
2장 장자
천지라는 큰 집에서 편히 쉬고 있을 뿐!
1. 아내가 죽었다, 질장구를 치자! _ 슬픔에서 통찰로
2. 생로병사는 ‘봄·여름·가을·겨울’ _ 생리와 심리, 물리의 삼중주
3. 양생술, 생명의 기예 _ ‘사이’에서 존재하라
4. 오직 생성, 오직 변화뿐! _ “천지 만물이 ‘나’로 살아간다”
5. 바보야, 문제는 이분법이라니까! _ 해골의 즐거움과 자유
6. 양생의 에티카 _ 심재心齋와 덕충德充
1 자아를 굶겨라 [심재]
2 애태타, 참을 수 없는 존재의 매혹 [덕충]
7. 운명애 Amor Fati _ 충만한 신체, 충만한 대지
3장 마하트마 간디
오, 라마! 죽음은 영광스러운 해방이다
1. 1948년 1월 30일 오후 5시 5분 _ 세 발의 총탄과 연꽃의 화환
2. 암살범의 최후진술 _ “나는 결코 후회하지 않는다!”
3. 오직 한 걸음씩! _ 사탸그라하 Satyagraha
4. 진리와 기쁨의 정치경제학 _ 브라마차리아 Brahmacharya
5. “나의 삶이 곧 나의 메시지다” _ 걷기, 굶기, 쓰기
6. ‘마하트마’의 ‘위대한’ 패배 _ “그날 간디는 그곳에 있지 않았다”
7. 죽음은 영광스러운 해방이다! _ 신의 손 안에
4장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이 한 번의 생으로 충분하다
1. 인생은 ‘자전거 타기’와 같다 _ 역마와 우정의
소크라테스, 장자, 간디, 아인슈타인, 연암과 다산, 사리뿟따와 붓다.
이들 사이의 공통점은?
생사의 관문을 지극히 경쾌하게 통과했다는 것!
보통 우리가 ‘죽음’이라는 단어를 대할 때면 어둡고 무거운 느낌을 피할 수 없기 마련이다. 자신과는 관련이 없는, 그리고 뭔가 결코 가까이하고 싶지 않은 없는 사건이기도 하다.
그런 외면하고 싶은 죽음을 현자들이라 불리며 지금까지 사람들의 존경을 받는 그들은 과연 어떻게 받아들였을까. 여기에 대한 그들의 지혜를 빌리면 우리도 좀 더 다른 자세로 죽음을 바라볼 수 있고, 그 죽음을 향해 나아갈 준비를 할 수 있지 않을까.
독자들은 이 책을 펼쳐서 읽는 순간부터 닫기까지 이토록 죽음을 경쾌하게 대할 수 있다는 시각에 놀라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직설적이지만 상황에 딱 떨어지는 언어로 독자들을 책 속으로 끌어당긴다. 작가의 질문인 듯 아닌 듯한 물음과 거기에 간결하게 내놓는 답변에 공감하지 않을 수 없다.
겉으로 보기엔 이들은 시대도, 문명권도, 인생 경로도 다 다르지만 우리는 이들을 이미 너무 잘 알고 있다. 삶의 지혜와 비전을 온몸으로 구현해 낸 위대한 스승들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들의 죽음에는 공통점이 있다. 생사의 관문을 지극히 경쾌하게 통과했다는 것. 그들에게 있어 죽음은 크나큰 휴식이며 평화이자 지복이었다. 우리가 생각하는 죽음과는 달라도 너무 다르다. 어떻게 이런 반전이 가능한가? 무엇보다 그들에게 죽음은 삶의 반대편이 아니었다. 죽음은 벗이었고, 동반자였으며, 생의 이면이었다. 하여 그들은 언제든 어디서든 죽을 수 있는 존재로 살아갔다. ‘죽을 수 있는 존재로 살아간다’는 것, 참 멋진 패러독스다. 이 역설이 가능해지려면 무엇보다 삶에 대한 통찰이 심오해야 한다. 삶이 심오할수록 죽음은 한없이 가벼워진다. 그래서인가. 죽음을 대하는 이들의 태도는 더할 나위 없이 명랑하다! 덕분에 알게 되었다. 심오해야 명랑할 수 있고, 명랑함은 심오함의 원천이라는 것을!
우리는 모두 죽는다.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