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눈 먼 꽃 | 13
자기 공명 영상 | 14
볼 패인 꽃사과 | 15
동대문 임대주택 C씨 | 16
안녕, 파킨슨 | 17
길고양이도 기운다 | 18
몬트리올 사람 | 19
꽃무늬 지팡이 | 20
오지탐험 | 21
한숨 쉼 | 22
다른 별로 보낸 모르스부호 | 23
평행선 | 24
무중력의 봄 | 25
탄원서 | 26
2부
굿모닝, 삐에로 | 29
완도산 진도산 | 30
이스탄불 고양이 | 31
데스 마스크 | 32
기침 소리 | 33
내 친구 명자 | 34
꼽등이와 모과 | 35
두 살, 아흔여섯 봄마중 | 36
시린 아이 | 37
비눗방울 | 38
클라크스빌 어미 사슴 | 39
고무장갑 | 40
백년초 | 41
빗자루 | 42
말문이 트일 때 | 43
3부
하늘 쪽배 | 47
락희거리 | 48
침묵의 마을 | 49
북두에 의지한 누각에서 | 50
팬데믹, 하루 | 51
낯선 손 | 52
웃음꽃 | 53
꽃몸살 | 54
그늘의 그늘 | 55
정발산 놀이터 | 56
거미는 인증샷이 필요없다 | 57
시 익는 마을 | 58
손때 묻은 바이엘 교본 | 59
기적 | 60
4부
숨 멈출 때 | 63
미완의 서재 | 64
만해 선생 | 65
목마른 둔재鈍齋 | 66
노을 춤 | 68
코로나19 수칙 | 69
가을 마법 | 70
안반데기의 별 | 71
나도 봄나무 | 72
불면不眠 소나타 | 73
찐 나를 만나다 | 74
옷장을 열고 | 75
정월 아침 움터오는 | 76
창밖을 읽는 밤 | 77
해설┃근원적 순수 원형을 찾아가는 서정의 기록 ┃ 유성호 | 78
추천사
박종명 시인은 가장 근원적인 질서이자 힘으로서의 모성적 상상력 안에서 오랜 시간을 관통하여 새롭게 태어나는 신생의 기운을 발견하고 표현해간다. 이 모든 생명은 사실 시인 자신이 써가는 ‘시詩’의 은유적 등가물이기도 할 것이다. 결국 우리는 박종명 시편을 통해 인간이 인위적으로 그어 놓은 ‘순간/영원’, ‘삶/죽음’ 등의 대립적 표지標識들이 지워졌을 때의 자유로움을 경험한다. 그 자유로운 신생의 순간을 생명의 속성이자 원리로 그려가는 사례를 통해 우리는 이 시대의 불모성과 교감 단절 양상에 대한 유력한 미학적 항체를 안아들이게 된다. 박종명의 시는 이러한 생명 현상에 대한 지극한 긍정과 사랑을 보여주는 사례로 한없이 우뚝할 것이다.
- 유성호 (문학평론가, 한양대학교 인문대학장
박종명의 시적 개성은 따뜻한 인간적 매력에 있다. 돌아가신 어머니와 가족 친지는 물론 그가 만난 사람들에 대한 애정과 연민이 그의 시에 정갈하게 갈무리되어 있다. 물론 그 온기가 화려한 언어로 만들어진 것은 아니다. 그가 지닌 본연지성에서 우러나온 그의 시는 질박하지만 웅숭깊다. 마음 깊은 곳에서 은은히 우러나오는 것이기에 향기롭다.
얼른 읽고 던져버리는 일회용 시가 아니라 곁에 두고 음미하는 시라는 것이 그의 시의 강점 중 하나이다. 화려하고 난폭한 언어가 난무하는 시대 그가 지닌 이런 특성은 오히려 우리 시단에서 귀한 자질이라 말할 수 있다.
박종명은 이미 두 권의 시집을 간행한 시인이지만 그의 시는 이제부터 본격적으로 전개되어 심도 있는 세계로 나아갈 것이라 확신한다. 인간성 부정의 인공지능 시대 그가 지닌 인간적 품성은 더욱 진정한 시적 가치를 발휘할 것이다. 기교적 수사법에 의지한 시가 아니라 본연지성에서 우러나온 진정성의 시이기에 그렇다.
- 최동호 (시인, 고려대 명에교수
책 속에서
은빛 휠체어 앉은
96세 어머니
새벽녘 머리단장하고 벼른
나들이
들릴 듯 말 듯
작은 손바닥 흔들며
떨어지는 잎새
어머니
새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