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서장 현대 사회는 어디로 나아가는가
―고원의 전망을 열어젖히는 것―
1 미래의 소실? 현대의 모순
2 생명 곡선/역사 곡선. 현대는 어떤 시대인가
3 글로벌 시스템의 위기. 혹은 구의 기하학
―정보화/소비화 사회의 임계
4 세계의 무한/세계의 유한. 축의 시대Ⅰ/축의 시대Ⅱ
5 고원의 전망을 열어젖히는 것
1장 탈고도 성장기의 정신 변용
―근대의 모순의 “해동”―
1 탈고도 성장기의 정신 변용. 데이터와 방법
2 “근대 가족” 시스템의 해체
3 경제 성장 과제의 완료. “보수화”
4 마술의 재생. 근대 합리주의 외부로 향하는 촉수들
5 〈자유〉, 〈평등〉 대 〈합리성〉. 합리화 압력의 해제 혹은 감압
6 근대의 이념과 원칙의 모순. 봉인과 “해동”. 고원 전망
보론 1 합리성, 비합리성, 메타합리성
보론 2 생활 스타일, 패션, 소비 행동
―“선택받은 자”로부터 “선택하는 자”로
2장 유럽과 아메리카 청년의 변화
1 유럽 가치관 조사/세계 가치관 조사. 데이터와 방법
2 행복의 고원과 파란
3 “탈물질주의”
4 공존의 지평의 모색
5 공존의 고리로서의 일
보론 〈단순한 지복〉
3장 다니엘의 물음의 고리
―역사의 두 가지 전환점―
4장 살아가는 리얼리티의 해체와 재생
5장 로지스틱 곡선에 대해
1 글로벌리제이션이라는 전제
―인간에게서의 로지스틱 곡선 1
2 한 개체당 자원 소비량, 환경 소비량에 의한 가속화
―인간에게서의 로지스틱 곡선 2
3 테크놀로지에 의한 환경 용량의 변경. 탄력대. “리스크 사회”화.
불가능성과 불필요성
―인간에게서의 로지스틱 곡선 3
6장 고원의 전망을 열어젖히는 것
1 총리의 불행
2 아이오리스의 왕
3 3천 년의 꿈과 아침의 광경
보론 욕망의 상승성
보론의 장 세계를 바꾸는 두 가지 방법
1 베를린 장벽. 자유와 매력성에 의한 승리
2 20세기형 혁명의 파탄으로부터 무엇을 배울까. 알을 안쪽에서부터 부순다.
3 배아를
현대 사회는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가?
우리는 1950년대부터 1970년대에 이르는 자본주의의 “벨 에포크Belle Epoche[golden age]”를 지나서 1980년대부터 최근까지 신자유주의의 글로벌화globalisation를 경험한 바 있다. 왜 비교적 풍요로운 사회가 일부이긴 하지만, 서구의 선진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이러한 눈에 띄는 변화를 겪게 되었을까? (우리 한국 사회도 거의 이 범주에 든 나라와 비슷하다. 이 변화의 메커니즘을 읽어내고서 앞으로의 우리의 나아갈 길을 모색하려는 게 저자 미타 무네 스케의 문제의식이다.
곧 우리는 현재, 저성장의 문제에 봉착해 있다. 과거와는 달리, 고성장의 자본주의 발전은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렵다. 그걸 “성장의 한계”라고도 한다. 그리고 이런 상황에 처하여 우리 시대의 젊은이들은 결혼과 출산에 얽매이는 걸 ‘의식적/무의식적’으로 거부하고 있다. (그 결과 ‘저출산’ 문제로 호들갑을 떤다. 아직도 ‘성장 신화’에 매달리는 지배 이데올로기와 이에 대한 의식 및 무의식에서의 반응을 저자 미타 무네스케는 ‘양적quantitative’인 통계 조사와 ‘질적qualitative/heuristic’ 분석을 병행하여 명쾌하게 밝혀내고 있다.
이러기 위해 생물학의 “로지스틱 곡선”을 보조선으로 도입하고 있다. 모든 생물의 성장이 주어진 ‘환경’에 의해 어떻게 적응 · 변용하는지를 예측하는 곡선이다. 곧 지구라는 유한 환경 속에서 인류라는 생물 종도 이 로지스틱 곡선의 법칙을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근거하여 미타 무네스케의 ‘사회학적 상상력’이 더해진다. 곧 야스퍼스Karl Jaspers의 “축의 시대”라고 하는 아이디어를 빌려와서 우리 사회의 미래상을 예측하고 있다. 즉 기원전 5~6세기서부터 시작하여 몇 세기에 걸쳐 우리 인류는 ‘화폐 경제’의 발흥에 따른 공동체의 해체와 변형에 내몰린다. 이 미지의 ‘무한’에 대한 인간의 응전이 고대 그리스의 철학, 헤브라이즘, 불교, 중국의 제자백가라는 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