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개인주의-집단주의와 코로나19 팬데믹 최훈석
1. 들어가며
2. 문화에 관한 심리학 연구: 문화비교 심리학과 문화심리학
3. Hofstede의 문화가치이론
4. Triandis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이론
5. 개인주의-집단주의 문화의 기원
6. 개인주의-집단주의와 코로나19 팬데믹
7. 논의 및 장래연구 방향
제2장 코로나19 시대 정서조절의 뇌신경과학 김민우
1. 코로나19 시대를 맞이하며 정서조절 능력의 증진 필요
2. 정서조절
3. 정서조절의 뇌신경회로
4. 뇌영상연구가 밝혀낸 정서조절의 뇌신경과학적 기전
5. 포스트 코로나19 시대를 위한 제언
제3장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심리적 고통과 성격적 취약 요인 장승민
1. 들어가며
2. 팬데믹과 심리적 고통
3. 팬데믹과 심리적 고통에 대한 성격적 취약성
4. 코로나19 시기의 심리적 고통과 성격적 취약 요인
5. 맺음말
제4장 코로나19 시기의 조직구성원의 수행 및 건강 박형인
1. 코로나19가 조직에 가져온 변화
2. 연구동향
3. 연구결과
4. 개입전략에 대한 함의
5. 후속 연구방안 제언
6. 결언
제5장 코로나 19 팬데믹과 정신건강 장혜인
1.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의 정신건강 문제 현황
2. 코로나19가 정신건강을 예측하는 심리적 기제
3. 코로나19 이후 정신건강 문제에 취약한 집단
4.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개입 방향
5. 결론
저자 후기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인류가 목도하고 있는 제반심리현상과
인간 행동에 관한 심리학 연구들을 집약하고, 이 연구들을 통해 우리가 얻은 심리학적 통찰을 독자들과 공유하기 위해 집필한 연구서
이 책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동안 인류가 목도하고 있는 제반심리현상과 인간 행동에 관한 심리학 연구들을 집약하고, 이 연구들을 통해 우리가 얻은 심리학적 통찰을 독자들과 공유하기 위해 집필되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회문화심리, 인지신경심리, 성격심리, 산업 및 조직심리, 임상심리 분야 전공 교수진이 사회적 거리두기를 실천하면서 각자의 전공 영역에서 보고된 팬데믹 관련 심리학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발견적 가치와 유용성이 큰 심리학 연구의 내용과 방법을 들여다보았다.
비록 이 시도가 심리학의 일부 영역에 국한된 점이 아쉽기는 하지만, 머지않아 팬데믹이 종식되고 인류가 ‘새로운 정상’(new normal에 적응해가는 과정에서 우리가 인간의 마음과 행동에 관한 과학적 연구에 귀를 기울여야 함을 주장하는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 책을 통해 심리학이 현실 세계 인간 문제에 좀 더 귀를 기울이고, 세상의 변화를 뒤쫓아 다니기보다는 건강한 변화를 창출하는 학문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가야 함을 주장하는 데까지 나아가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