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좋은 시는 다 우스개다 - 오탁번 시읽기 2
저자 오탁번 외
출판사 태학사
출판일 2024-01-25
정가 28,000원
ISBN 9791168102446
수량
책을 펴내며
머리말

1부 시인의 산문

좋은 시는 다 우스개다
버슨분홍 시인을 기다리며
언어를 모시다
하늘에서 들리는 말씀, 받아 적는다 ― 내가 읽은 나의 시집, 『비백』

2부 시집 기행

모든 사라진 것들과의 해후 ― 『손님』(2006 시작노트 | 오탁번
시인의 말 ― 『우리 동네』(2010 | 오탁번
알몸으로 쓴 맨살의 시 ― 『시집보내다』(2014 | 방민호
정겹고 다사로운 만물 공생의 사유 ― 『알요강』(2019 | 이숭원
시간의 필경사가 전해주는 말과 마음의 고고학 ― 『비백』(2022 | 유성호

3부 시인론 ― 언어의 비의

도시에서 탐색된 원형적 상상력 ― 오탁번론 | 송기한
일상과 우주의 마주침, 삶의 주름과 겹에서 출현하는 사랑 ― 오탁번의 『1미터의 사랑』과 『벙어리장갑』 | 박슬기
원시성의 마력 ― 오탁번 | 진순애
멋지고 세련된 아재 개그의 진수 ― 오탁번 시집 『알요강』을 읽고 | 이승하
젊은 날의 눈물겨운 초상, 또는 시적 궤적의 낭배 | 오태환
우리 동네의 언어와 이야기 ― 오탁번 시인론 | 고형진
노년의 해학과 시 ― 지천(芝川 오탁번 | 이동재
반로환동(返老還童의 주안술(朱顔術 ― 오탁번론 | 이영광
오탁번, 시집보내다 ― 성과 속의 경계를 넘나드는 웃음의 미학 | 한용국
당신을 향한 인간의 얼굴 | 장은영
‘시(詩집’ 보내고, ‘시(媤집’ 보내고 ― 오탁번의 『시집보내다』 | 호병탁
‘동심(童心’이면서 ‘취(趣’의 시 ― 오탁번 시집 『시집보내다』를 읽고 | 장인수
맑은 날 술래가 된 일흔 살 아이 ― 오탁번의 시 | 최준
외설과 성찰이라는 한 아이 ― 오탁번의 신작시집 『시집보내다』 | 윤향기
이 계절의 시집 ― 『시집보내다』 | 조정인
이순을 지나 불러보는 아름다운 귀거래사 | 이승하
순정한 언어에 비친 치열성의 미학 ― 오탁번 시집 『알요강』을 읽고 | 이병초
자기 응시의 순정하고 오연한 형식 ― 오탁번 시인론 | 오태환

4부 시인과의 대화

고형진 교수와 오태환 시인은 이 책의 머리말에 이렇게 적었다.

“선생은 갑년 후에도 활발하게 시를 쓰고 발표했다. 정년이 다가와 학교 일로부터 자유로워지면서 시 창작에 더욱 매진했고 정년 이후 에는 전업 시인으로 시에 몰두했다. 시는 선생과 한 몸이 되어 일상에 완전히 녹아들었다. 선생의 일과는 시와 나란히 진행되었다. 그렇다고 시를 대량 생산하지는 않았다. 선생은 손톱에 피가 돋도록 언어를 조탁하여 잘 빚은 시의 항아리만을 세상에 내놓았다. 선생은 갑년 이후 3~5년 간격으로 시집을 간행하였다. 시집 간행 주기는 갑년 전에도 똑같았다. 선생은 그렇게 평생 엄격하고 성실하게 시를 짓다가 어느 날 갑자기 저세상으로 훌쩍 떠나셨다. 갑년 이후에도 선생의 정신은 푸르렀다. 늘 어린아이와 같은 호기심으로 세상을 바라보았고, 문단과 정치의 부조리엔 결기 있게 비판의 목소리를 냈으며, 새로운 시에 대한 실험을 지속해서 시도했다. 그리고 끝까지 유머를 잃지 않았다. 유리알처럼 맑고 투명했던 젊은 시절의 언어 감각은 모국어의 자원계발로 이어졌다. 선생은 사전에 매몰되어 있던 아름다운 우리말을 채굴해 빛나는 보석으로 세공하여 시의 진열대에 앉혔다. 갑년 이후에 펴낸 선생의 시집들은 모국어의 보고이다. 선생은 모국어의 파수꾼을 자임하였고, 그 일에 신성한 사명감을 가졌다.”

이 책에는 23인의 평론가 및 연구자들이 오탁번 시에 대해 쓴 글 또는 시인과 나눈 대담이 실려 있다. 몇몇 대목만 소개하자면 다음과 같다.

“「알요강」의 할아버지는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어린 손자가 저 작은 알요강에 소리를 내며 오줌을 눌 그날을 기다리며 ‘향긋한 지린내’에 의지하여 동지섣달 긴긴밤을, 그 춥고 흐린 노년의 시간을 보낸다. 이 정경과 언어에 담긴 은은한 마음의 결은 필설로 다 하기 힘들다.” ― 이숭원(문학평론가, 서울여대 명예교수

“토박이말의 다채로운 구사는 다정하고 걸쭉하고 살가운 어투의 문장에 녹아들면서 구어체 입담의 매력을 한껏 발산하게 된다. 입말의 묘미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