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의 글
역자 서문
해제
Ⅰ. 법의 정통성에 허물이 없음을 보이는 저자著者의 수승함
Ⅰ-[1] 훌륭한 가문에서의 탄생
Ⅰ-[2] 그 생애에 공덕을 갖추는 과정
Ⅰ-[2]{1} 교법을 두루 아시는 교학의 덕을 갖추는 과정
Ⅰ-[2]{2} 여법성취 증법證法의 덕을 얻어가는 과정
Ⅰ-[2]-{2<1> 뛰어난 계학을 갖추다
Ⅰ-[2]-{2}-<11. 별해탈계를 구족하는 과정
Ⅰ-[2]-{2}-<12. 보살계를 갖추는 과정
Ⅰ-[2]-{2}-<13. 금강승계를 갖추는 과정
Ⅰ-[2]-{2<2> 두 가지 뛰어난 정학을 갖추다
Ⅰ-[2]-{2}-<11. 보편의 정학[共定學]
Ⅰ-[2]-{2}-<12. 특별한 정학[不共定學]
Ⅰ-[2]-{2<3> 뛰어난 혜학을 갖추다
Ⅰ-[2]-{2}-<11. 보편의 혜학
Ⅰ-[2]-{2}-<12. 특별한 혜학
Ⅰ-[3] 불법을 위한 행적
Ⅰ-[2]{1} 인도에서의 행적
Ⅰ-[2]{2} 티벳에서의 행적
Ⅱ. 가르침에 귀한 마음을 일으키는 법의 수승함
Ⅱ-[1] 모든 교법에 모순이 없음을 깨닫는 이익
Ⅱ-[2] 부처님의 모든 말씀을 특별한 가르침으로 보게 되는 이로움
Ⅱ-[3] 부처님의 뜻을 조속히 얻는 이로움
Ⅱ-[4] 죄행이 저절로 소멸되는 이로움
Ⅲ. 두 가지 수승함을 갖춘 법法을 듣고 설하는 방법
Ⅲ-[1] 청문자가 법을 듣는 법
Ⅰ-[2]{1} 법을 듣는 공덕
Ⅰ-[2]{2} 법과 설법자에 대한 공경
Ⅰ-[2]{3} 청문법의 실제
Ⅲ-[2] 설하는 방법
Ⅰ-[2]{1} 법을 설하는 공덕 사유하기
Ⅰ-[2]{2} 부처님[敎祖]과 법에 공경심 일으키기
Ⅰ-[2]{3} 설법자의 마음가짐과 몸가짐
Ⅰ-[2]-{2<1> 마음가짐
Ⅰ-[2]-{2<2> 몸가짐
Ⅰ-[2]{4} 법을 설하는 대상과 법을 설하지 않아야 할 대상의 구별
Ⅲ-[3] 마지막 공통의 행법
Ⅳ. 본 가르침으로 제자를 인도하는 순서
Ⅳ-[1] 모든 도의 근원인 선지식을 의지하고
『보리도차제론』이 티벳 불교사에서 차지하는 위상과 가치는 티벳불교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는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달라이라마 존자님의 법문에서 늘 회자되고 법문 주제로 자주 채택되곤 해서 존자님의 법문을 접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책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 알고 있다. 그러나 그것이 아무리 훌륭한 역작이고 티벳 수행자들에게 사랑받는 필독서라 하더라도 우리 한국 불자에게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보리도차제론』에서 필자가 주목한 것은 말 그대로 깨달음의 길이라는 도의 과정을 해설하는 책이라는 점도 있지만 우리사회가 가진 문제를 해결하고 현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해법을 제시한다는 점이다. 14세기라는 다른 시간과 공간에서 나온 이 역작은 쫑카빠라는 인물의 시대적 고민에서 나온 시대적 산물이다. 대사의 저작 속에 고스란히 투영되어 있는 시대상과 문제를 읽으면 지금 우리에게 이 저작이 왜 필요한가에 대한 답을 발견하게 된다. 이 저작은 당시 티벳 불교사회가 안고 있던 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금까지 티벳 불교를 지탱하는 힘이 되어 왔다. 스승의 부재, 교리적 오해, 맹목적인 믿음, 가치관의 혼란 등 대사의 시대가 그랬듯이 이 시대에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해법을 제시해 줄 것이라 확신한다. (김성철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명예교수
책 속에서
올바른 논[正論]과 구결(口訣, man ngag 없이 혼자 힘으로 교설을 배우기 때문에 후대의 중생들은 그 뜻을 얻지 못한다. 그러한 이유에서 스승[軌轍師]들께서 경을 해설하는 논서와 구결문口訣文을 저술하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올바른 구결이라면 경장에 대해 확신을 줄 수 있어야 한다. 구결의 가르침을 아무리 배워도 그것이 경론의 의미에 확신을 주지 못하거나 경론과 상충되는 도를 설한다면 그것은 오로지 버릴 바이다.
어떤 이들은 삼장을 수행의 핵심이 없는 현학(衒學의 대상으로 삼고, 수행의 핵심적 의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