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뉴턴과 마르크스 : 문과 이과의 융합을 위한 제언
저자 도이 히데오
출판사 산지니
출판일 2024-02-05
정가 20,000원
ISBN 9791168612358
수량

서문

1장 ‘전형적’ 문과에서 ‘전형적’ 이과로-뉴턴과의 만남
1 ‘전형적’ 문과 인간
2 기계치와 수학
3 ‘전형적’ 이과 인간으로의 전환
4 시에 대한 경도와 문과로의 재전환

2장 경제학부 진학과『 자본론』-마르크스와의 조우
1 ‘전형적’ 이과 인간인 채로 문과 학부 입학
2 경제학부 진학과 마르크스 경제학에 대한 관심의 맹아
3 뉴턴 역학을 이해하지 못했던 마르크스

3장 마르크스의 ‘국가’관, ‘과학’관과의 격투
1 『자본론』의 국가관으로는 대응할 수 없는 현실
2 계급대립의 ‘결과’인 고전적 국가로부터 계급대립의 ‘원인’인 현대국가로
3 마르크스의 ‘과학’관과 자연과학의 정합성
4 역사적 법칙의 우선순위

4장 우노 공황론과 대학원 진학
1 우노 고조 『경제원론』의 충격
2 받아들이기 어려웠던 ‘논리’와 ‘역사’의 분석
3 우노 공황론의 공과
4 공황론을 연구하기 위해 대학원 진학 결심

5장 역사에 대한 관심의 부활과 경제사의 벽
1 일본 자본주의 논쟁에 대한 관심의 맹아
2 전후까지 이어지는 일본사회의 특수성과 강좌파
3 전근대사회에 대한 관심의 부활
4 경제사의 벽

6장 다케타니 미츠오의 3단계론
1 다케타니의 ‘실체론’과 모델론
2 다케타니의 ‘실체’와 소립자
3 다케타니의 ‘실체’와 『자본론』의 가치 실체
4 이론사적 연구로 취직

7장 기술의 본질 규정과 문리융합
1 체계설의 빛줄기
2 딱딱한 체계설과 유연한 적용설
3 정보혁명과 기술론
4 ‘제2자연의 운동’으로서의 기술

8장 문과로부터의 문리융합과 이과로부터의 문리융합
1 마르크스 이론의 발전에 의한 문리융합
2 이과로부터 문리융합의 시도
3 자본축적론에 2차 미분 도입
4 빈곤화 법칙과 중간층 문제

저자 후기
역자 후기
학문을 문과와 이과로 구분할 수 있는가

4차 산업 혁명에 필요한 융합형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2018년, 고등학교에서 문이과의 구분이 사라졌다. 하지만 각 대학이 문이과 선택 과목을 지정하면서 문이과 통합 정책은 무용지물이 되었다. 문과와 이과의 진정한 융합은 불가능한 것일까.
『뉴턴과 마르크스』는 문이과 구분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저자 도이 히데오는 문학과 역사를 좋아하는 전형적인 문과인이었으나 갑작스럽게 난독증 증상을 보이며 혼란을 느낀다. 이후 뉴턴과 마르크스를 만나고 경제학을 전공하며 문과와 이과의 분리가 상당히 인위적이었단 사실을 깨닫는다. 저자가 말하는 하나 된 학문은 무엇일까.


문이과를 하나의 논리에서 바라보다

문과와 이과의 골을 메우기 위해 저자는 뉴턴 역학의 형성과 마르크스 가치론을 하나의 논리로 묶는 시도를 한다. 이를 위해 법칙의 적용과 발명의 관점에 주목한다. 객관적 법칙성의 적용을 노동수단의 본질로 보는 적용설, 이과적 관점은 발명을 영원한, 초역사적인 것으로 바라본다. 그러나 발명이 생산실천에 활용되어 기술이 된다면 역사적 개념이 된다. 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저자는 노동수단의 체계를 기술의 본질로 보는 체계설, 문과적 관점의 도입을 주장한다. 발명은 체계설의 관점에서 볼 때 인류사에서는 발명가의 행위, 자연사 에서는 발명된 인공물 즉 제2의 자연이다. 이와 같이 제2의 자연을 주체로 본다면 인류사에서 인간의 주체적 실천은 ‘제2의 자연’의 ‘운동’에 포함되어 객체가 되고 체계설과 적용설이 하나의 논리에서 이해된다. 저자는 이러한 논리를 바탕에 둘 때 문과적 기술관과 이과적 기술관의 모순이 해결된다고 주장한다.

단순한 도입이 아닌쌍방의 발전이 가능한 기술관

문과와 이과의 융합을 위한 또 다른 예시로 상향법과 하향법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문리융합은 수리적인 수법이나 물리학 방법을 인문사회에 적용하거나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른 윤리적·법적 대응을 말한다. 그러나 물리학과 수리학을 도입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