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판 서문 주변의 중국과 삶
서문 1(개정판 서문 그들이 내실 있는 자신을 보게 하자
서문 2 공식화의 모순: 베이징 저장촌과 중국사회 20년의 변화
서문 3 2005년 영문판 서문(부분 발췌
제1장 서론: 일상행위 중심의 접근
이 책을 쓰게 된 이유 | ‘특이한’ 공동체 | 현대와 전통 | 총체적 이해와 구체적 이해
제2장 저장촌에 들어가다
만들어지는 공동체 | 계 | 상호작용하면서 서로를 알아가기 | ‘원저우에서 온 대학생’ | 이 책이 쓰인 방식
제3장 저우가周家의 하루
그림 보고 말하기: 구역과 확장 | 두 그룹의 사람 | 각자의 연보 | 주택, 시설과 투자 | 하루 일과 | 일간 손님 | 2년 뒤 | 작은 매형네 집
제4장 1984: 베이징에 오다
전사 | 콜럼버스 이야기 | 베이징에 오다 | 느슨한 사슬과 긴밀한 사슬 | 협력 | 노점상 유격전
제5장 1986~1988: 입지를 굳히다
등당입실 | 공략 | 연합: 임대와 인창진점의 경쟁 | 사업자등록증 | 대리판매를 발명하다 | ‘본전이 들지 않는 사업’ | 능력자, 자기 사람, 융자 사람 | 오래 머물면 안되는 곳
제6장 1988~1992: 확장
가죽재킷 열풍 | 선불 판매 | 국경 무역 | 외국인의 마을 방문과 하도급 | 도매점 | 개척: ‘전국적 이동 사업 연결망’의 형성 | 왜 확산형 이동을 하는가? | 원단 시장 | 보조재 시장 | 노무 시장 | 자본 시장 | ‘본가’인가 ‘고향’인가? | 가족의 재편 | 생활 체계 | 주거지 구성 | 분쟁 해결의 방법 ‘개척’ | 집주인과 세입자 | 도주
제7장 1992~1995: 혼돈 속에서 돈을 벌다
대형 쇼핑센터 입주: 관계의 예술 | 대규모 전대 | 소규모 전대 | 영업사원 | ‘징원’ 이야기 | 시장 열풍과 매대 열풍 | 새로운 수법 | 절차 | 보호자 | 사업권의 확대와 경쟁의 심화 | 단지 | 다중 합작과 다방향 투자 | 극도로 혼잡한 공동체 | 자위 조직과 공안 |
베이징 한복판에 형성된 원저우 상인 집거지 ‘저장촌浙江村’
한 줌의 불법 매대에 불과했던 장소가
10만 명의 공동체로 탄생하기까지
그 사회학·인류학적 생활사는 어떤 과정을 거쳤을까
6년간 저장촌에서 직접 생활하고 20년을 추적 관찰한 끝에 탄생한
도시사회의 변화 동학을 통찰해낸 사회학·인류학 명저
2022년 대담집 『주변의 상실』로 한국 독자들에게 처음으로 소개된 샹뱌오 막스플랑크연구소 사회인류학연구소장의 주저 『경계를 넘는 공동체: 베이징 저장촌 생활사跨越邊界的社區:北京“浙江村”的生活史』가 번역·출간되었다. 이 책은 원저우 출신 농민들의 동향촌이 1990년대 베이징에서 가장 큰 저가 의류 생산·판매 기지로 변모하는 과정에 관한 문화기술지ethnography로, 이후 출간돼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국가와 사회, 중앙과 지방, 도시와 농촌, 통치와 저항의 역동적 관계를 살피는 고전이 됐다. 애초에 베이징대학 석사논문이었던 이 논고로 그는 옥스퍼드대학 박사과정에 진학할 수 있었으며 나중엔 이 대학 인류학과 교수로 임용되었다. 이 책은 1998년 단행본을 위한 원고로 완성되어 2000년 중국어판이 나왔고, 2005년 영문판이 나왔으며, 2017년 중국어 개정판이 출간되었는데 번역에는 2017년 개정판을 저본으로 사용했다.
저장촌의 형성, 확장, 굴절, 재도약
베이징 저장촌은 저장성 원저우 출신 농민들이 구성한 국내 이주민 집거지다. 이 책은 현장 연구 및 생활사 연구 방법으로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대 중반까지 저장촌의 형성, 확장, 굴절 그리고 재도약의 과정을 설명한다. 의류 산업이 책을 관통하는 실마리다. 저자는 의류 산업으로 연결된 사람 간의 관계가 이 산업의 분업과 함께 어떻게 재설정을 거듭하면서 지역 공동체로 발전했는지에 대해 답하고자 한다. 일종의 경제와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탐구서이기도 하다.
이 책은 국내 독자들이 한 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중국 정부의 정책, 개혁 개방의 이론, 공산당의 이념 등은 거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