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권력자와 권위자로 나타나는 질서의 지배자들
인류는 언제부터 문자와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했을까
질서의 개념과 범주
제2장 고대국가에서의 질서
질서의 시작: 가상의 실재화를 만드는 사피엔스
신과 인간이 혼재된 고대 도시에서의 질서
고대 폴리스의 지배질서
동서양 질서의 충돌
헬레니즘과 스토아학파
고대 중국의 질서의 지배자들
고대 그리스의 민주주의 질서의 탄생
고대 로마의 공화주의 질서의 탄생
제3장 중세국가의 질서
AD 313년 기독교 공인 이후의 질서
십자군 전쟁으로 인한 중세국가들의 질서의 재편
르네상스 발흥과 중세 도시국가들의 질서
피렌체 공화국의 질서체계
한자동맹 도시국가들의 질서체계
제4장 유럽 절대주의 국가의 질서
대항해와 30년 종교전쟁(1618-1648 이후의 질서
절대왕정 시대의 질서
중세 영주들의 관료로의 변신
질서의 새로운 지배계층으로서 관료와 시민의 등장
홉스의 인간관과 자연관
몽테스키외와 루소의 인간관과 자연관
로크의 인간관과 자연관
1648년 베스트팔렌 조약 이후 근세국가들의 질서의 재편
산업혁명과 자본주의 질서의 탄생
제5장 근대국가에서의 질서
19세기 시민혁명과 자본주의 질서의 재편
근대 민주주의의 질서체계
사회주의와 공산주의에서의 질서체계
국가 관료제 형성과 질서의 재편
1392년 세계는 눈을 뜨고 조선은 눈을 감다
조선의 중앙과 지방의 질서체계
구한말의 질서체계
근세 중국의 질서체계
동북아 3국의 전통적 질서체계를 무너뜨린 1840년 아편전쟁
청나라 말기의 혼란
1898년 청나라 말기의 개혁
1868년 메이지 유신 이전의 일본의 질서체계
일본의 개항과 메이지 정부의 탄생
메이지 정부의 질서체계
한ㆍ중ㆍ일 3국의 관료제 형성과 근대성 비교
제6장 현대국가들의 질서
국가와 사회의 관계
현대사상에서의 질서체계
푸코의 언어학에 대한 관점
자유주의 경제적 질서체계의 강조
6ㆍ8 혁
머리말
본서는 사회과학을 입문하는 혹은 관심 있는 독자들을 위하여 통시적인 역사 인식과 문화인류학적인 사회구조의 변화와 과학기술이 변화하는 정치·경제·사회의 질서체계에 대하여 우리나라를 비롯해 동서양을 관찰하고 비교분석하였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고대국가에서부터 현대국가에 이르기까지 6개의 장으로 구분하여 정치·경제·사회의 질서체계의 지배적 논리와 지배자들의 특성을 파악했다.
본서의 핵심적 주제어인 ‘질서’라는 개념이 순서 정연한 질서(order가 아닌 조화적 질서(cosmos여야 한다는 생각은 본문을 읽으면서 분명해질 것이다. 이는 무질서(disorder에도 가치가 있으며 패러다임 전환의 원동력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의미와 같다.
즉, 각자의 국가와 사회에서 자신들만의 고유한 정치·경제·사회체계의 고유성은 점차로 사라지고 있으며 정서적 공동체를 강조하는 것 역시 무용해졌고 무의미해져 가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국가와 사회의 질서체계는 어떻게 만들어졌고 어떻게 전개되었으며 어떤 질서체계를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는 것이 본서의 목적인 것이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의 질서의 지배자들의 모습 또한 그려보는 것이 본서의 또 다른 목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