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서문]
[목차]
제1부: 고려불교 음식문화
Ⅰ. 고려 시대 육식문화
1. 서언_10
2. 고려 시대 육식문화와 기존논의 재고_13
1. 수렵, 어로, 도살, 육식금지령 재고_14
2. 『고려도경(高麗圖經』 재고_19
3. 원나라의 고려지배와 육식에 대한 영향_28
3. 고려 사회에서 육식금지의 내면화와 사회 계급화의 문제_34
4. 결어_49
II. 고려 시대 만두문화
-불교사찰의 채식만두 & 왕실, 민간의 육식만두-
1. 서언_51
2. 고려 시대 불교사찰의 채식만두 전통_54
1. 고려 불교사찰의 혼돈_54
2. 고려 불교사찰의 채식만두, 산함_66
3. 고려 시대 왕실과 민간의 육식만두 전통_74
1. 고려 왕실의 만두: 쌍하(雙下_75
2. 고려 민간사회의 만두: 「쌍화점(雙花店」의 쌍화(雙花_86
4. 결어_94
III. 고려 시대 선불교의 소금과 장류(鹽醬 이해
1. 서언_97
2. 삼국 시대 불교사찰의 소금과 장류(鹽醬_98
3. 고려 시대 소금과 장류 생활과 원감국사 충지의 음식생활_102
4. 조선 시대 선불교 사찰의 소금과 장류 생활_113
5. 소금과 장류의 선불교적 이해_123
6. 결어_129
IV. 고려 말 산갓김치 전파사
-고려말 불교사찰에서 조선 시대 사대부가로-
1. 서언_130
2. 고려 불교사찰에서 조선 사대부 가로의 확산_131
3. 조선 사회에서 산갓김치의 위치_137
4. 결어_146
제2부: 불교 음식이론
Ⅰ. 삼덕(三德과 육미(六味: 불교의 식재료와 맛 이론
1. 서언_149
2. 중국 고대 문헌의 ‘물과 맛’_150
3. 불교 문헌의 ‘물-맛-식재료’_157
1. 물: 팔공덕수(八功德水_157
2. 음식의 맛: 육미(六味_162
3. 식재료: 삼덕(三德_170
4. 결어_174
Ⅱ. 음식의 본질적 요소, 식체(食體, 향(香, 미(味, 촉(觸
1. 서언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