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머리말
Ⅱ. 디지털고고학의 분야와 역사
1. 개념과 분야 정의
2. 디지털고고학의 역사
Ⅲ. 유럽의 디지털고고학
1. 정책과 제도
1 디지털고고학 관련 정책
2 디지털고고학 관련 제도
2. 디지털고고학 분야별 사례
1 야외 조사
2 데이터 수집과 기록
3 데이터 구축과 분석
4 디지털 복원과 시각화
5 전시·교육
3. 디지털고고학 교육 현황
Ⅳ. 디지털고고학 국내 활용 방안
1. 고고학 조사와 연구 방안
1 디지털 기술의 국내 고고학 적용 방안
2. 대중을 위한 활용방안
1 디지털대중고고학 적용 방안
3. 교육과 전문 인력 양성
Ⅴ. 디지털고고학 국내 정책 실행 방안
1. 데이터 통합과 접근성 증대
1 고고정보 통합 아카이브 구축
2 아카이브 표준 지침 마련
2. 데이터 품질 제고
1 데이터 표준 마련
2 모니터링 및 평가 지침과 시스템 마련
3. 디지털고고학 및 관련 분야 연구 활성화
1 디지털고고학 연구 및 문화유산 기술 개발 지원
2 산학 협력 장려 및 지원
4. 전문 인력 양성
1 교육과 훈련 기회 제공
2 디지털고고학 관련 대학 지원
5. 대중 참여 확대
1 전시·교육 콘텐츠 개발 및 공유
2 문화 소외 계층을 위한 콘텐츠 개발
3 디지털 고고유산 자원센터 건립
4 문화유산 플랫폼 구축
Ⅵ. 맺음말
‘디지털고고학’의 개념을 정립하는 개론서
- 유럽의 관련 정책과 제도, 연구, 교육 현황 등 최신 경향도 함께 소개
고고학 분야는 3D 레이저 스캐닝,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등 다양한 디지털 기술이 도입되면서, 유적과 유물에 대한 정확하고 빠른 기록과 보존, 새로운 분석과 복원이 가능해 졌다. 아울러 사회 전반적으로 최신 기술과 문화유산 향유에 대한 기대가 높아짐과 동시에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문화의 확산에 따라 대중을 위한 다양한 고고학 관련 콘텐츠들이 양산되고 있다. 여러 디지털 기술은 발굴조사와 기록의 편의성을 더 해 줬고, GIS 등 다양한 컴퓨터 기반 분석은 그동안 진행되지 못한 새로운 조사와 연구의 가능성을 열어 주었다. 또한 디지털 기록은 개발로 인해 사라지는 유적과 유구를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기도 하다. 이처럼 여러 가지 디지털 기술을 고고학 조사, 연구, 기록, 보존, 복원, 활용 등에 적용하는 것을 국외에서는 ‘디지털고고학(Digital Archaeology’이라고 한다.
‘디지털고고학’은 다양한 디지털 기술을 고고학 조사, 연구, 기록, 보존, 복원, 활용 등에 적용하는 고고학의 한 분야를 말한다. 옥스퍼드 대학 고고학 연구소의 토마스 에반스(Thomas L.Evanse는 디지털고고학을 “고고학과 컴퓨터의 결혼(marriage between the two, archaeology and computing”이라고 표현 하였다. ‘디지털고고학’은 현재 미국과 유럽의 연구자들에 의해 널리 통용되는 용어로, “과거를 이해하기 위한 미래의 기술(future technology to understand past behaviour”로 해석되며, 고고학자가 디지털 데이터를 수집, 생성, 분석, 변환, 기록화, 관리, 조사연구, 시각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방법을 포
괄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디지털고고학은 또한 computational archaeology, archa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