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제1장 현대소설사의 기점
1. 이광수와 시대 인식: 『무정』
1 『무정』을 보는 시각
2 인물 관계
3 영웅적 인물의 잔영
(1 시대의 요구
(2 전대소설의 수용과 변용
(3 영웅적 인물의 행방
(4 또 다른 ‘행복한 결말’
2. 『무정』의 현대소설사적 의의
제2장 ‘리얼’에 대한 인식과 개별화
1. ‘리얼’의 자각: 김동인
1 《창조》의 문학관
2 ‘약한 자’의 의미
3 김동인의 자연주의
4 유희의 한계
2. 휴머니테리어니즘: 전영택
1 전영택의 ‘약한 자’들
2 휴머니테리어니즘(Humanitarianism
3. 예술로서의 문학: 나도향
1 원초적 감정
(1 예술과 순수
(2 통속과 예술
2 경향소설과의 상관관계
3 예술과 현실
4. 반어와 기교: 현진건
1 신세대의 윤리
2 반어의 한계
3 『무영탑』의 미학
5. 근대 초기소설의 가정교사와 연애풍속
1 가정교사라는 직업
2 연애와 풍속도
(1 고용자로부터 사용자로
(2 사용자로부터 고용자로
(3 사용자와 고용자
3 신세대 최초의 직업
제3장 경향소설의 등장
1. 자연발생기의 가난: 최서해
1 가난한 농촌의 열혈청년
2 「고국」ㆍ「탈출기」의 만주 체험
2. 자연발생기의 도시 지식청년: 이익상
1 도시 체험
2 가난과 이향
3. 목적의식기의 투쟁: 조명희
1 카프의 제2차 방향전환
2 「낙동강」의 투쟁
제4장 리얼리즘 소설의 전개
1. 사실주의 소설: 염상섭
1 햄릿형 인물: 「표본실의 청개구리」
2 열린 구조: 「만세전」
3 통속적 구조: 『이심』
4 사실주의 소설: 『삼대』
2. 서구소설의 수용과 변용: 『남방의 처녀』와 『이심』
1 유럽의 탐정소설 『남방의 처녀』
2 염상섭의 『이심』
3 탐정의 등장
(1 공주 도난사건
(2 국보 도난사건
4 욕망의 구도
(1 통속과 욕망
(2 부재 인물의 역할
5 식민지 상황과 민족주의
3. 풍자소설: 채만식
1 역설의 시대 상황
책 속에서
『무정』을 우리나라 최초의 현대소설이라고 본 데에는 그것이 그만큼 서구적이라는 뜻을 내포하기도 하였다. 이런 견해는 자칫 우리 소설이 『무정』을 기점으로 과거소설의 전통을 단절하고 따로 서구식 소설 양식과 사고를 들여왔다는 착각을 빚을 수도 있었다. 그러나 그 이전에도 우리는 우리의 소설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그것들을 우리는 시대와 성격에 따라 고소설 또는 신소설이라고 불러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무정』을 이러한 전대소설(前代小說 과의 관련 아래 검토해 본다는 생각보다는 막연하나마 서구식 소설로서의 현대성을 규명하기에 골몰했던 것이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이런 현상은 신소설 연구에서도 해당되는 문제였다. 신소설의 그 새로움(新이 고소설과는 달리 따로 서구소설이나 일본소설로부터 이입된 것이라는 견해가 관심의 주류를 이루었던 것이다.
그러나 최근 연구의 관심은 우리나라 소설 쪽으로 쏠렸고, 그 결과 신소설은 전대소설로부터의 긍정적이면서도 부정적인 계승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신소설도 고소설과 마찬가지로 사건소설이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전대소설의 전통을 시대적 요청에 맞도록 개조했고 또한 그것과는 다른 가치를 창조했다는 것이다. 고소설이나 신소설의 구조가 사건소설이라는 점에서 일치한다는 것은 따지고 보면 서구의 전대소설, 즉 로망스 또는 행동소설의 구조와 다를 바 없다는 말이 되고 말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결과가 우리나라 소설연구에 미친 영향은 컸다. 왜냐하면 그것은 서구소설의 독특한 양식에 대한 지금까지의 기대를 불식시키고 우리나라 소설을 서사문학의 전통이라는 대전제 아래 검토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리라 믿어지기 때문이다.
--- p.16~17
영웅의 이상을 초극하고, 인간을 개인의 입장에서 파악할 때, 비로소 인간의 리얼리티(reality가 제시될 수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된 것은 굉장한 변화였다. 선과 악을 각각 분리시켜 설정하지 않고 그것들이 하나의 인물한테 공존할 수도 있다는 생각이 가능해졌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