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들이 말하는 ‘착한 아이’의 기준에 물음표를 던지는 그림책
방에서 놀고 있는데 엄마가 그랬어요. “착한 아이니까 방 정리는 잘할 수 있지?” 얼마 전 바다에 놀러갔을 땐 아빠도 나에게 비슷한 말을 했어요. “튜브 다 불 때까지 착하게 기다리렴”이라고요. 그런데 이상해요. 어린이집 선생님도 “착한 아이는 선생님 이야기를 잘 들어야 해”라고 하거든요. 왜 어른들은 같은 말만 할까요? 착한 아이가 뭐 길래 자꾸 그러는 걸까요?
<엄마, 나는 착한 아이야?>는 어른들이 말하는 ‘착한 아이’의 기준이 무엇인지 물음표를 던지는 그림책입니다. 이야기는 엄마가 주인공 아이에게 ‘착한 아이’라고 말하는 장면으로 시작됩니다. 착한 아이가 무엇인지 곰곰이 고민하던 아이는 문득 친구들끼리는 착한 아이라는 말을 하지 않는 사실을 깨닫죠. 그러고는 생각합니다. 어쩌면 착하다는 말은 어른들만 쓰는 비밀 암호일지도 모르겠다고요.
‘착한 아이는 친구들을 잘 챙기고, 손도 잘 씻고, 달리기도 항상 1등이고…….’ 착한 아이가 되는 방법을 하나하나 떠올려 보던 아이는 조금 지친 듯 나직이 되뇝니다. ‘착한 아이는 할 일이 많구나.’
“착한 아이든 착한 아이가 아니든 있는 그대로 너를 사랑한단다“
“착한 아이니까 잘할 수 있지?” 어린이라면 한 번쯤 들어 봤을 법한 이 말에는 교묘한 함정이 숨어 있습니다. 착한 아이의 기준은 양육자나 주변 어른들의 기준에 따라 매번 바뀌기 때문이죠. 날마다 바뀌는 착한 아이라는 틀에 맞추기 위해 노력하다 보면, 아이는 자신보다 타인의 관심과 인정이 더 중요한 사람으로 성장할지도 모릅니다.
아이의 일상 곳곳에는 ‘착하다’는 말이 따라옵니다. 밥을 먹을 때도, 씻을 때도, 심지어 친구와 즐겁게 노는 순간에도 그림자처럼 따라다니죠. 아침에 눈 떠서 잠들 때까지 착하기를 강요받는 아이의 마음에는 점차 불안함이 번지기 시작합니다. 이렇듯 <엄마, 나는 착한 아이야?>는 어른들이 고민 없이 사용하는 ‘착한 아이’라는 말이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