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대중의 계보학 : 모던 걸에서 촛불 소녀까지, 대중 실천의 역사와 새로운 대중의 시대
저자 김성일
출판사 이매진
출판일 2014-05-09
정가 20,000원
ISBN 9791155310441
수량

머리말. 대중이라는 현상
1. 왜, 다시, 대중인가
2. 시청 앞 광장에서 새로운 대중을 만나다
3. 새로운 대중과 대중의 시대
4. 감사의 글

1부. 대중의 탄생 ― 근대적 대중과 탈근대적 대중의 마주침과 엇갈림
1장. 익명의 다수 ― 근대적 대중의 형성
2장. 노마드와 다중 사이에서 ― 탈근대적 대중의 형성
3장. 마주침과 엇갈림 ― 근대적 대중과 탈근대적 대중의 대면

2부. 탄생, 성숙, 변이 ― 대중 형성의 계보학
1장. 탄생 ― ‘모던이씀’과 문명 병자들의 개화
1. 모던 보이와 모던 걸 ― 근대의 외양 또는 외양의 근대
2. 개조와 동원 ― 근대화 프로젝트와 학교의 탄생
3. 앎의 주체, 저항하는 대중
2장. 성숙 ― 사랑과 욕망을 국민과 민족에게
1. 코카콜라와 청년 문화 ― 소비사회와 소비 대중의 형성
2. 국가라는 공동체 ― 국민과 민족으로 호명되는 대중
3. 전태일과 넥타이 부대 ― 권위주의적 지배 체제와 대중의 저항
3장. 변이 ― 금 모으는 대중과 자기 계발하는 디지털 네이티브
1. 문화 산업 ― 시장에 종속된 문화와 문화 소비
2. 포섭된 대중 ― 금 모으는 국민과 자기 계발하는 주체
3. 인터넷 혁명과 디지털 네이티브 ― 직접 행동하고 자율적으로 실천하라

3부. 대중의 시대 ― 참여 군중과 집단 지성 그리고 새로운 대중 실천
1장. 변화 ― 탈근대적 구조 변동의 세 차원
1. IMF 위기 ― 물적 생산 방식의 변화
2. 치안 정치와 민주주의의 퇴행 ― 정치적 지배 방식의 변화
3. 디지털 혁명 ― 사회적 소통 방식의 변화
4. 탈근대적 구조 변동의 지형도
2장. 참여 군중 ― 광장의 시민, 욕망하고 연대하는 대중
1. 거리의 시민들 ― 욕망하고 연대하는 유목적 주체
2. 광장과 촛불 ― 다양하고 모호한 주체들의 대중 실천
3. 내 돈으로 촛불 샀다 ― 촛불 소녀 그리고 연대와 욕망의 정치
3장. 그대는 왜 촛불을 드셨나요 ― 집단 지성과 영리한 대중의 혁명
1.
그대는 왜 촛불을 드셨나요?

길거리 응원전에서 탄핵 반대로, 미선-효순 추모부터 국정원 부정선거 규탄까지
모던 걸에서 공순이로, 넥타이 부대에서 금 모으는 대중으로, 올빼미족에서 디지털 네이티브로
유동하는 대중이라는 현상 속에서 마주치고 엇갈리는 대중이라는 환상을 좇아
근대적 대중 형성의 지층을 파헤쳐 그려내는 탈근대적 대중의 계보학

촛불을 든 대중 - 침몰하는 민주주의와 대중 실천의 역사

2002년 미선이 효순이 추모 집회에서 시작한 촛불 집회는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집회에서 절정을 맞았다. 그 뒤 한국 대중은 규탄하고, 반대하고, 지지하고, 추모하는 목소리를 낼 때 촛불을 들고 광장으로 나왔다. 그리고 세월호 참사를 애도하는 촛불이 지금도 타오르고 있다. 배후 세력을 묻는 고루한 권력에 돌려주는 ‘내 돈으로 촛불 샀다’는 대답은 대중 운동의 자발성과 주체성, 유동성과 비전형성을 상징적으로 드러낸다.
한국 대중 실천의 100년 역사를 계보학적으로 살펴본 《대중의 계보학》은 오노 사건, 노사모 활동, 길거리 응원전, 미선이 효순이 촛불 집회, 이라크전 반대와 파병 반대 촛불 집회, 대통령 탄핵 반대 촛불 집회,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 집회 등 현대 한국의 대중 운동을 짚으며 20세기 초 개항기부터 2014년 신자유주의 시대까지 근대적 대중이 해체되고 탈근대적 대중이 등장하는 과정과 특징을 밝힌다. 또한 참여적 군중과 영리한 대중 등 탈근대적 대중이 웹 2.0 방식의 문화정치로 신자유주의의 감성 권력에 맞서는 현실을 살펴본다. 그리하여 지금 우리가 맞닥뜨린 민주주의의 위기와 대중의 저항이 함의하는 대안적 사회의 청사진을 그려보려 한다.

유동하는 대중 - 앎과 욕망의 주체에서 저항하고 참여하는 영리한 대중까지

《대중의 계보학》은 20세기 초 모던 보이와 모던 걸 등 근대적 대중의 탄생부터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 집회의 주역인 참여적 대중까지 다양한 대중 행동을 계보학적으로 탐구한다. 1부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