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한국 민족주의의 전개와 특성
1장/ 한국 민족주의의 반공 국가주의적 특성 식민지적 기원과 해방 직후의 전개 양상
2장/ 지구화 시대 한국 민족주의 김영삼 정부와 김대중 정부의 경제민족주의 담론 비교 연구
3장/ 민주화 이후 한국 민족주의의 변화 통일, 북한, 미국, 외국인, 재외동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4장/ 한국 근현대사 교과서를 둘러싼 역사 인식 갈등 연구 한국 민족주의의 ‘균열’을 중심으로
5장/ 세계화 시대 한국 정체성의 변화 국민 정체성의 법적 규정과 관련 정책을 중심으로
6장/ 남북한 민족주의 비교 연구 ‘역사의 이용’을 중심으로
7장/ 세계화 시대 한국과 일본의 민족주의 1990년대를 중심으로
8장/ 세계화 시대 북한과 중국의 민족주의 1990년대를 중심으로
논문 출처
이념, 운동, 담론 ― 민족과 민족주의에 관한 20년 연구의 결산
1장은 일본의 식민 지배가 한국 민족주의에 남긴 유산을 다뤘다. 한국의 민족주의는 일본의 식민 지배에서 반공주의, 국가주의, 전체주의 같은 부정적 유산을 이어받았다. 식민지 시기 일본 제국주의의 부정적 이념은 부르주아 우파하고 결합했고, 해방 이후 재등장해 민족주의하고 결합했다.
2장은 탈냉전과 지구화가 한국 민족주의에 끼친 영향을 살폈다. 김영삼 정부는 국제화와 세계화를 구호로 내걸고 사회 변화를 추동했지만 1997년 경제 위기를 초래했다. 김대중 정부는 국제통화기금의 관리 아래 구조 조정을 추진해 신자유주의를 전면화했다. 이 과정에서 ‘위’와 ‘아래’에서 등장한 여러 경제 민족주의 담론의 성격과 의미를 고찰했다.
3장은 민주화 이후 2000년대까지 한국 사회와 민족주의가 변화한 과정을 다뤘다. 한국 민족주의의 변화에 초점을 맞춰서 북한, 통일, 미국, 이주 노동자, 재외동포, 북한 이탈 주민에 관한 한국인의 의식을 종합적으로 고찰했다.
4장은 2000년대 중반 근현대사 교과서를 둘러싼 갈등이 한국 민족주의에 지니는 의미를 살폈다. 정부와 뉴라이트 진영의 충돌은 이념 갈등을 넘어 분단 국가 체제에서 유래한 한국 민족주의의 균열을 반영했다. 특히 금성 교과서와 뉴라이트 대안 교과서는 근본적으로 한민족의 종족적 정체성과 정치적 정체성의 균열을 반영하고 있었다.
5장은 1990년대의 세계화가 한국의 정체성에 가져온 변화를 고찰했다. 분단 탓에 한국의 정체성은 종족적으로 한민족을 뜻하는 민족 정체성과 법적으로 대한민국 국민을 뜻하는 국민 정체성으로 구분되는데, 국적법 전면 개정, 재외동포법 제정, 외국인 차별 완화 등 국민 정체성의 법적 규정과 관련 정책을 중심으로 정체성의 변화 양상을 분석했다.
6장은 국가 권력이 역사를 이용해 민족적 정통성을 강화한 과정을 살폈다. 박정희 정권은 민족 정통성을 강화하려 국정 국사 교과서를 발행하고 이순신과 세종대왕을 ‘재발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