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쓴이 소개
감사의 말
서문
1장 노동과 자연 사이의 단절 고치기 ― 환경주의 노동 연구의 경우|데이비드 우젤, 노라 래첼
1부 노동조합은 환경을 어떻게 바라보는가
2장 국제노동조합총연맹과 지구적 환경 노조 정책의 발전|아나벨라 로젬버그
3장 지속 가능 발전에서 녹색 공정 경제로 ― 환경을 노조의 쟁점으로 만들기|로라 마틴 무리요
4장 국제노동기구와 환경 ― 노동자를 위한 사회적으로 정의로운 전환으로 가는 길|레네 올센, 도릿 켐터
5장 저탄소 농업과 식품 노동자의 권리|피터 로스만
6장 생태-노조주의를 향해 ― 스페인의 경험을 성찰하기|베고냐 마리아-토메 질(오귀스탱 곤잘레스 옮김
7장 자동차, 위기, 기후변화, 계급투쟁|라르스 헨릭손
2부 전세계 노동조합들은 어떤 환경 정책을 펼치는가
8장 신자유주의적 세계 경제와 자연 ― 노동조합의 역할을 재정의하기|재클린 콕, 로브 램버트
9장 땅, 생존, 일자리에 관해 노동조합에 던지는 질문들|앤드류 베니
10장 아마존 우림의 노동-환경 동맹 속에서 기후변화, 노동조합, 농업 노동자|주앙 파울루 칸디아 베이가, 스코트 비 마틴
11장 ‘일자리 대 환경’에서 ‘그린칼라 일자리’로 ― 오스트레일리아 노조들과 기후변화 논쟁|베리티 버그만
12장 오스트레일리아의 정의로운 전환과 노동자 환경주의|다린 스넬, 피터 페어브러더
13장 매듭을 묶을 수 있을까 ― 대만과 한국에서 드러나는 노동과 환경의 궤적들|화-젠 리우
14장 녹색 일자리? 좋은 일자리? 정의로운 일자리? ―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미국 노동조합|디미트리스 스테비스
15장 미국 노조와 ‘극단 에너지’의 도전 ― 트랜스캐나다 키스톤 엑스엘 파이프라인의 경우|숀 스위니
16장 청색에서 녹색으로 ― 기후변화에 맞선 미국과 스웨덴의 블루칼라 노동조합|메그 깅그리치
17장 노동조합 그리고 ‘현실의 지속 불가능성’에서 전환하기 ― 경제 위기에서 성장을 넘어선 새로운 정치 경제로|존 배리
18장 지역적 장소와 지구적 공간
노동과 환경의 이인삼각 ― ‘일자리 대 환경’에서 ‘일자리 그리고 환경’으로
‘정의로운 전환’이란 지속 가능하지 않거나 환경에 해로운 산업과 노동이 환경적으로 수용 가능하고 노동자와 지역 사회에 이로운 형태로 전환돼야 하며, 이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피해와 희생을 예방하고 공적 기제를 통해 부담을 나눠야 한다는 개념이다. 노동조합과 협동조합은 같은 뿌리에서 출발했지만, 산업이 발달하고 환경 오염이 심해지면서 임금과 노동 조건에 관심을 갖는 노동자 집단과 환경 파괴에 맞서는 환경운동이 갈라졌다. 둘 사이의 대화는 드물어졌고, 환경을 도외시하는 계급 이기주의라는 비판과 계급 관계를 간과하는 중산층 운동이라는 비난이 교차했다.
노동자와 환경이 서로 얽혀 있으며 지구화하는 자본을 공동의 적수로 삼아야 하는 상황에서 등장한 기후 위기는 공장 안팎의 제도와 운동을 연결해 대량 생산과 환경 파괴를 가속하는 산업자본주의에 맞선 대안을 마련하는 계기가 된다. 농업과 서비스 산업이라는 예외가 있지만, 주로 대공장 산별 노조의 정책에 초점이 맞춰진다. 교통, 철강, 화학, 시멘트 산업 등이 탄소 배출,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에 큰 책임이 있고 환경주의자들의 비판에 취약하기 때문이다.
이러저러한 방식으로 노동 연구를 해온 필자들은 기후변화와 환경 파괴가 노동자와 노동 조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그치지 않고 노동, 노동자, 환경 사이의 관계가 다면적이고 복잡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노동조합이 펼치는 다양한 정책들을 출발점으로 삼아 노동과 환경을 연결할 필요성을 깨닫게 한다. 무엇보다도 이런 논의들은 ‘일자리 대 환경’에서 ‘일자리 그리고 환경’으로 노동과 환경을 둘러싼 논의의 틀을 바꿀 계기가 될 수 있다.
녹색 일자리는 가능하다 ― 기후변화 전장 속 정의로운 전환의 이론과 현장
희소한 자원, 돌이킬 수 없는 생태계 파괴, 심각해지는 기후변화, 불가피한 대량 실업 등 일자리와 환경을 둘러싼 디스토피아적 결과들을 막아낼 실질적이고 의미 있는 대안은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