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마른 씨앗의 날들
귀로(歸路 · 13
벽 · 14
삼인칭의 밤들 · 16
마른 씨앗의 날들 · 18
물빛 뜨락 · 20
붉은 몸살 · 22
모래 울음 · 24
가을빛 목청 · 25
한파주의보 · 26
여름의 끝 · 28
세상에 없는 꽃 · 30
울산바위 · 32
탄탈로스 · 34
두 개의 원 · 36
2부 구름의 방
안개 · 39
집시의 강 · 40
바로크적으로 · 42
능소화 · 44
그냥 · 46
가볍게 · 48
그리움의 여분 · 50
어느 하늘로 · 52
구름의 방 · 53
낡은, 봄 · 54
소쩍, 쿵 · 56
3부 정육과 자본과 통로
적막 등짝 · 61
차가운 기호들 · 62
공공씨의 하루 · 64
정육과 자본과 통로 · 66
르네 마그리트 그림처럼 · 68
디오게네스의 주정 · 69
버려진/질 것들 · 70
테트라포드 · 71
시절 유감 · 72
얼룩과 얼룩 · 74
천상의 꽃 · 76
매복 같은 사랑 · 78
4부 해부되는 정신의 과잉
홍시 · 81
해부되는 정신의 과잉 · 82
연구개파열음 · 85
Domino · 88
꼬리의 모노드라마 · 90
마트료시카 · 92
잉여의 주먹질 · 94
편집증 · 96
Nothing의 사거리 · 98
거울, 뒷골목 · 100
시간의 짐 · 102
서해였다 · 104
불의 울음 · 106
5부 영혼의 서랍
멸치 육수 · 109
구석진 11월에 서서 · 110
수취인불명 · 112
베드로의 독백 · 114
영혼의 서랍 · 115
잃어버린 신화 · 116
북극의 밤 · 118
고드름 · 120
울음을 쥐고 태어난 · 122
미꾸라지 · 123
끝의 열매 · 124
해설 다시, 구름의 방으로 들어가다 / 우대식·126
사유하고 시를 쓰고 끝없이 탈주하는 운명을 드러낸 신종호의 시들
1997년 『현대시』로 등단하며 작품활동을 시작한 신종호 시인이 2017년 두 번째 시집 『모든 환대와 어떤 환멸』을 출간한 후 만 7년 만에 세 번째 시집 『해부되는 정신의 과잉』을 현대시세계 시인선 160번으로 출간했다. 그의 두 번째 시집 『모든 환대와 어떤 환멸』에 대해 성귀수 시인은 “보통의 시인들이 좇게 마련인 청각영상이나 비유의 조화로움이라고 하는 보편적 미덕의 강박에서 완전히 벗어난 듯” 보이며, 시집에 실린 각각의 시편들이 “성벽(城壁을 때리는 투석용 화강암 덩어리 같다”라고 비유했다. 나아가 신종호 시인은 파편화된 상처들을 역치(易置하거나 전치(轉置함으로써, 독특하게 자각된 세계의 모순을 결코 잊을 수 없는 방식으로 우리 앞에 제시하고 있다고 평했다. 이러한 점은 세 번째 시집 『해부되는 정신의 과잉』에도 드러나고 있다.
신종호의 시집 『해부되는 정신의 과잉』을 보면 우선 시집 제목이 난해하다 느껴질 것이다. 그렇지 않겠지만 말 그대로 따라가면 정신은 과잉되어 있고 과잉된 정신은 해부된다는 의미이다. 그러나 가만히 생각해보면 과잉된 정신을 해부하는 것이야말로 시의 한 축이라 해도 그럴듯하다는 데에 이른다. 예술이 표상 혹은 재현으로서의 세계와 단절했을 때 필연적으로 어둠, 무의식, 죽음 등에 시선을 돌릴 수밖에 없다. 신종호의 시는 그 운명을 기꺼이 감수하겠다는 시종일관의 태도를 보여준다.
시인의 살아온 내력으로 회한, 옛날, 귀로를 말하는 경우에도 보편적 감성으로서의 그것이 아니라 생경한 어떤 측면이 늘 배치되어 있다. 범박하게 이야기하면 기표와 기의 세계에서 누락된 존재에 대한 탐구는 그의 시를 어렵게 만든다. 그는 이미 합의된 기호로서 아름다움에는 별다른 관심이 없다. 신종호 시인의 시에 끝없이 나타나는 그와 그녀, 나와 당신의 복잡한 수식적 관계는 기호의 혼돈에서 비롯된 것이다. 정확히 말하면 기표와 기의의 합의에 포획되지 않은 존재에 대한 탐구의 형식이 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