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프롤로그
당신은 어디에 살고 있습니까
네 번의 이사와 어디에도 없는 집
집, 꿈 또는 삶
독립의 기로에 선 청년 세대, 집의 의미를 묻다
고시원, 집 아닌 집을 통해 집을 보기
1장 고시원에 들어가기 전에
장소, 위치, 정체성 ― 집과 집 없음의 의미
1. 고시원을 어떻게 볼 것인가 . 장소의 재개념화
2. 집이란 무엇인가 ― 서구와 한국의 집
3. 위치에 관한 질문 ― ‘집’과 ‘집 없음’의 경계를 문제삼기
삶과 욕망의 규율 ― 생애 과정과 규범적 시공간성
1. 생애 과정 접근과 재생산적 시간성
2. 규범적 시공간성의 제도적, 상징적 차원
신자유주의 문화 논리의 안과 사이에서 경험하고 말하고 듣기
2장 만남과 만나는 법
고시원에 들어가기까지
누가 어디에서 누구를 만날 수 있는가 ― 고시원에서 보낸 기록
타자에 관한 참여관찰에서 나와 우리, 그 거리에 관한 이야기로
내가 만난 사람들
3장 마이 제너레이션, 서울에서 살기 위하여
누가 서울에서 집을 가질 수 있는가 ― 주거 불평등의 심화와 부동산 자산의 세대 이전
언제쯤 안정이 올까요 ― 청년 실업 증대와 생애 단계의 불안정화
서울로, 서울로 ― 구조화된 도시적 욕망과 수도권 이주
돌고, 돌고, 돌고 ― 반복적 주거 이동과 주거 트랙의 분화
4장 유령들의 집
고시원의 형성과 현황
우리들은 들어간다 고시원으로
유령들이 사는 나라
1. 버리고, 숨죽이고, 웅크리고
2. 시간이 멈춘 방
3. 같은 곳에 살지만 아무하고도 함께 살지 않는
4. 유령의 탄생
5장 고시원, 집과 집 없음의 경계 지대
나는 이곳에 살지만 사는 것이 아니다
“내가 언제 또 이런 데서 살아보겠냐”
“여기 말고 서울에서 집이라고 부를 만한 데가 있나?”
시간을 집어삼키는 공간, 공간에 덫을 놓는 시간
6장 가족의 경계에 선 독립, 어른/시민 되기를 둘러싼 투쟁
독립을 결심하다
1. 얹혀사는 삶에서 벗어나기 위해
2. 청년들을 밀어내는 가족
내 청춘의 스위트룸,
1평짜리 고시원에서 우리는 어떤 삶을 살아가고 있을까
전세 대란, 뉴타운 광풍, 등록금 천만 원 시대 -
집 나와 방으로 들어가는 ‘방살이 청춘’들!
고시원과 원룸텔, 옥탑방과 반지하를 오가는 ‘집 없는 세대’의 집 이야기
3포 세대, 집 업고 태어나는 달팽이를 부러워하다
전세 대란, 청년 실업, 등록금 폭등, 재개발……. 신문 지면을 매일같이 뒤덮는 이 단어들 사이에서 ‘88만원 세대’는 연애, 결혼, 출산을 포기한 ‘3포 세대’라는 새로운 이름을 얻었다. ‘사람은 서울로 가야 한다’는 정언명령에 등 떠밀려 도시로 향하는 청년들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끝을 모르고 치솟는 전월세, 연간 천만 원을 향해 달리는 대학 등록금이다. 월 88만 원의 소득으로 감당할 수 없는 ‘집값’을 피해 싼 방에서 더 싼 방을 전전하며 ‘불완전한 독립’을 유지하거나, 20대 중반을 훌쩍 넘긴 나이에도 부모의 품을 벗어나지 못하는 ‘캥거루족’의 딱지를 달고 살아간다.
《자기만의 방》은 ‘내 집 마련’이 불가능한 꿈이 돼버린 한국 사회, 그리고 그런 사회로 첫 발을 내딛는 젊은이들의 삶을 ‘고시원’이라는 렌즈를 통해 조명한다. 저자는 고시원에서 거주한 10명의 젊은이들을 만나 고시원의 생활, 각자의 주거사, 집에 관한 꿈, 그 각양각색의 이야기를 들었다. 여기에 자신의 방살이 경험과 고시원 참여관찰의 기록과 함께 한국 사회의 주거, 고시원의 형성과 현황에 관한 세밀한 연구를 보탰다. 이것을 통해 경제 위기 이후 한국 사회에 일어난 변화들이 주거 경험을 어떤 맥락에 위치시키는지, 그리고 청년 세대는 이런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며 자신들의 ‘집 이야기’를 만들어가고 있는지를 폭넓게 살핀다.
1평짜리 집에 사는 ‘홈리스 제너레이션’의 슬픈 연대기
홈리스를 지원하는 사회적 기업에서 일하던 상태는 고시원에 거주하는 자신도 잠재적인 ‘홈리스’라는 말을 듣고 혼란에 빠진다. 어려움 없이 자라 대학원까지 졸업한 자신이 언제든 홈리스가 될 수 있다는 현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