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제1장 김남조 시의 실존의식 연구 -1950년대 시를 중심으로
1. 서론11
2. 전쟁 체험과 불안, 분노 : 『목숨』15
3. 자기 응시와 현실 극복으로서의 고독과 참회 : 『나아드의 향유』23
4. 고독의 내면화와 성숙의 자아 : 『나무와 바람』30
5. 결론35
제2장 김남조 시의 ‘막달라 마리아’ 연구
1. 서론38
2. 죄인 막달라-‘죄성(罪性’과 ‘애욕(愛慾’42
3. 성녀 막달라-‘막달라 되기’와 개인의 구원51
4. 메시아 막달라─‘듣는’ 당신과 공동체의 구원62
5. 결론69
제3장 김남조 시의 모성 연구
1. 서론72
2. 모성에 가려져 있던 한 인간으로서의 어머니75
3. 삶의 동행자로 나타나는 모성83
4. 모성의 대상과 주체의 확장89
5. 결론96
제4장 김남조 시에 나타난 죽음 인식
1. 서론98
2. 절망과 애도의 이중주102
3. 일상적 순교를 통한 초극 의지109
4. 신의 수행, 사랑의 완성114
5. 결론120
제5장 김남조 시의 생태주의적 상상력 연구
1. 서론123
2. 전쟁에 대한 위기의식과 생명 공동체 ‘지구’126
3. 자연과의 연대 회복을 위한 생태계 역동성135
4. 생태계의 인격적 하위 체계로서의 인간과 자연146
5. 결론156
제6장 김남조 시의 휴머니즘적 사랑 연구
1. 서론159
2. 기독교적 휴머니즘과 사랑-기독교적 이웃에 대한 기도와 무차별적
사랑163
3. 필리아적 휴머니즘과 사랑-‘나-너’의 관계의 상호적 무상의 사랑171
4. 사회 참여적 휴머니즘과 사랑-‘슬픔’을 시화한 사회적 관심으로서의
사랑179
5. 결론187
제7장 막스 피카르트의 침묵 사상을 통한 김남조 후기시의 비움 의식과 침묵의 표상 분석
1. 서론191
2. 침묵을 통한 용서와 화해의식194
3. 비움을 향한 침묵에의 의지209
4. 천상적 침묵으로의 입문219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