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열며: 문자 반야를 뗏목으로
제1부 불교로 물질주의에 경종을 울린 작가들
1. 사나 죽으나 별반 좋을 것도 나쁠 것도 없노라: 백거이의 삶과 문학 세계_유한근
2. 전후 미국의 정신을 바꾼 작가: 잭 케루악과 불교_김호주
3. 시어로 녹여낸 선(禪과 생태주의: 게리 스나이더와 불교_정약수
4. 물질주의에 경종을 울리다: 샐린저와 선(禪적인 깨우침_박양근
5. 탐욕에서 벗어나라: 발자크와 불교_문윤정
제2부 붓다와 서양 철학자들
6. 우리의 지식은 인상의 감정에 불과하다: 흄의 해방과 붓다의 자유_김은중
7. 삶의 고통에서 해방하라: 마르크스주의와 불교_지혜경
8. 인도 철학을 서구에 알리다: 쇼펜하우어와 『우파니샤드』_홍혜랑
9. 부처의 나무는 그 자체가 리좀이 된다: 질 들뢰즈의 ‘차이 생성’과 ‘연기론’_송마나
10. 중관(中觀 사상에 나타난 비트겐슈타인의 언어관: 비트겐슈타인과 불교_맹난자
제3부 지혜 반야의 길
11. 서구에 선불교를 알리다: 스즈키 다이세쓰(鈴木大拙의 삶과 학문_이광준
12. 중이 할 것이라곤 공부밖에 없다: 향곡선사(香谷禪師 일화_법념
13. 무애행, 대자비심의 발로: 경허스님의 무애행_임길순
14. 선각자는 세상과 불화할 수밖에 없다: 이탁오와 불교_노정숙
15. 깨우치니 삼라만상이 모두 공(空이더라: 허균과 불교_맹난자
제4부 마음에 녹아든 경전의 말씀
16. 현명한 지도자와 지혜의 완성: 『인왕경』_김태진
17. 우리 인생은 개인 몫만 아니다: 『화엄경』 만난 인연_황다연
18. 불이법문(不二法門을 침묵으로 설하다: 내가 만난 『유마경』_성민선
19. 불국토를 지향한 군주: 『승만경』과 진덕여왕_정진원
20. 사시사철 초목이 보이는 순환의 진리: 자연의 시계와 『숫타니파타』_박순태
제5부 수필로 쓴 나의 구법기
21. 번뇌의 불꽃 일으키며: 『화엄경』과 소소 일상_조정은
22. 세상 전체가 ‘나’임을 알았다: 나의 간화선 실참기_백경임
23. 모든 것은
책 속에서
불교와 문학이 만나는 자리를 나는 ‘깨달음’의 자리로 인식한다. 그 자리로 나아가기 위한 방편은 다를 수 있지만, 그 궁극적인 도달점은 그곳이라는 생각이 그것이다. 여기에서 ‘깨달음’을 다른 이름으로 지혜라 지칭할 때, 불교와 문학의 접점은 자명해진다. 불교의 깨달음의 길이 여러 길이 있듯이 문학의 경우에도 장르에 따라 그 길이 달라진다. 시의 경우에만 보아도 시의 경향이 다양한 것처럼 고대시의 경우에도 다르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백거이 시의 경우에 앞에서도 언급되었지만, 그의 시의 경향은 이백의 활달하고 판타지적인 시의 경우와는 달리 두보 시의 경향에 속하지만, 리얼리티한 현실적인 시 경향에 유·불·선 사상을 수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두보와는 변별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그것은 공리성을 중시하는 문학관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p.18
1950년대의 미국 불교는 미국 사람들이 사는 풍경과 문화를 변형해 왔고, 아직도 변형하고 있다. 비트들은 그들이 추구하고 습득했던 불교를 통해서 미국 사회에 중요한 문화적 유산뿐만 아니라 정신적 유산도 함께 남겼다고 할 수 있다. 케루악은 이 과정에서 적지 않은 역할을 했다. 그러한 시도의 흔적이 최초로 나타난 작품이 『길 위에서』이며, 이러한 시도가 『제라드의 비전』으로 연결되며, 『달마 행자들』에서 그것이 꽃을 피운다고 할 수 있다. 그는 미국 선이 토착화되는 과정에서 세 작품을 통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선이라는 모티프를 제공하여 미국 선을 대중화한 작가이다. 이것은 마치 보리 달마대사가 중국 선의 초조(初祖가 되어 육조 혜능대사에 와서 중국 선이 완성되듯이, 스즈키 다이세쓰 박사가 미국 선에 이론을 제공하여 케루악이나 게리 스나이더(Gary Snyder를 통해 미국 선이 대중화되는 기폭제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미국 선불교는 일본의 정통적 선(禪에서 1950년대 비트 선, 1960년대의 히피 선, 1970년대의 뉴에이지 선 그리고 1980년대의 사이버펑크 선으로 연결된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