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문학에서 가장 불가해한 작가
「넵스키 거리」는 가난하고 순진한 낭만주의 예술가 피스카료프와 그의 친구인 비속한 출세주의자 코발료프의 연애 행각이 빚은 혼돈과 좌절의 희비극이다. 화자는 넵스키 거리의 매력을 아이러니하게 칭송하는 것으로 이야기를 시작한 이후, 피스카료프의 비극적인 사건은 다소 연민을 담은 아이러니로, 그다음 코발료프의 희극적인 사건은 보다 풍자적인 가벼운 아이러니로 묘사하고 나서 넵스키 거리, 특히 저녁나절의 넵스키 거리의 악마적인 기만성을 두려워하라고 경고한다. 고골이 1830~1833년 페테르부르크 예술아카데미에서 청강생으로서 회화 수업을 받고 예술가들과 교류한 경험이 반영되어 있다.
「광인 일기」의 주인공 악센티 이바노비치 포프리신은 관청에서 서류를 필사하는 업무를 맡은 9등관으로 페테르부르크의 귀족 사회와 관료제의 높은 직급을 동경하여 국장을 숭배하고 그의 딸을 연모한다. 그는 그들의 삶을 엿보고 싶어 하던 중 그 집 개 멧지가 다른 귀부인의 개 피델과 편지 왕래를 하고 있다고 상상하고 멧지가 피델에게 보낸 편지를 가로채서 읽고자 한다. 1833년경에 정신적 위기를 겪었던 고골은 이 작품에서 페테르부르크의 맹목적인 서구 모방, 관료주의, 소비주의, 대중문화 속에서 인간의 정체성이 얼마나 부조리하게 형성될 수 있는가를 보여준다.
「코」는 이발사 이반 야코블레비치가 갓 구운 빵 속에서 자신의 고객인 8등관 문관 코발료프의 코를 발견하고서 이를 남몰래 버리려다 실패하고, 8등관이지만 문관보다 우위에 있는 소령으로 자처하는 코발료프는 사라졌던 자기 코가 5등관이 되어 페테르부르크 넵스키 거리를 활보하는 것을 발견하고서 그것을 되찾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하지만 실패한다. 이후 코발료프의 코가 다시 자기 자리에 돌아옴으로써 그의 고통이 끝나고 이발사 이반도 다시 그를 면도해 주는 것으로 사건은 일단락된다. 사람이 신분으로만 판단되는 당시 러시아 사회상이 허무맹랑하지만 흥미진진한 환상적인 사건을 통해 드러나고, 작가가 왜 이런 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