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간사
프롤로그
1장 3차 역사교육과정
01 제3차 교육과정기 교육이념과 인간상 _ 김한종
02 제3차 국사과 교육과정의 성립과 국사교과서 개편 _ 조성운
03 제3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의 한국고대사 서술과 특징 _ 이정빈
04 제3차 교육과정 국정 고등국사의 편찬과 중세사 서술 비판 _ 황인규
05 제3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 국정교과서의 한국 근·현대사 서술과 그 특징 _ 한철호
2장 4차 역사교육과정
01 제4차 교육과정기 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고대사 서술 특징과 배경 _ 신선혜
02 중등국사(1982년판 고려시대사의 서술 내용과 의의 _ 황인규
03 제4차 교육과정기 중·고등학교 국사교과서의 조선시대 서술 체제와 내용 분석 _ 장희흥
04 제4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 근현대사 서술의 특징 _ 조성운
참고문헌
이 책은 역사와교육학회와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가 2015년부터 2021년까지 매년 1회씩 공동 주최한 각 교육과정기 국사과 교육과정과 국사교과서에 대한 학술회의에서 발표되고, 역사와교육학회가 발행하고 있는 학회지 『역사와교육』을 비롯한 여러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수정, 정리하여 3권의 시리즈로 출판한 것 중 제2권이다.
제3차 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은 교과서 발행체제가 국정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전에는 국정과 검정을 혼용하여 교과서를 발행했다면, 제3차 교육과정부터 국정 발행이 주를 이루었다. 특히 중학교 역사 교과서와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는 전면적으로 국정체제로 발행되었다. 세계사 교과서는 검정체제를 유지하였지만, 한 종류의 교과서만 검정을 통과하면서 사실상 단일한 교과서였다.
국정교과서에 대한 사회와 학계의 문제 제기로 1978년 교과서 제도가 개정되었다. 이에 국정·검정·인정의 교과서 발행제도가 1종·2종·3종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교과서 연구개발을 전문연구기관이 맡았던 1종은 아쉽게도 기존의 국정교과서와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한편 『시련과 극본』을 없애고 그 내용을 국사 교과서에 포함하면서 국사 교과서가 상권과 하권의 두 권으로 나뉘게 되었다.
제4차 교육과정은 1981년 12월 인간중심 교육과정의 이념을 바탕으로 종합적이며 복합적인 성격을 지향하였다. 이는 초·중·고등학교 교육과정 사이의 연계성이 강조되고 지식의 학문성과 유용성을 강조한 것이다. 그러나 종합적이고 복합적인 교육과정의 방향은 사회과에서 독립한 국사과를 사회과로 다시 통합하려는 움직임으로 나타났다. 제4차 교육과정기는 민족 자주성과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는 교육 목표 및 이념을 표방했다는 점에서 민족주체성을 강조한 제3차 교육과정기와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그리고 교육과정 개발이 한국교육개발원에 위탁되었다. 여전히 국사교과서의 경우 국정화 방향을 유지하였고, 신군부의 정치적 의도가 교과서에 포함되어기도 하였다. 한편, 1982년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 사건을 계기로 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