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말
1부 초기불교
1. 불이사상의 관점에서 본 초기불교의 가르침
1 사성제(四聖諦
2 깨달음의 과정과 단계
2. 초기불교의 가르침에 대한 몇 가지 생각
1 욕망에 대한 초기불교의 가르침
2 초기불교의 가르침과 역사성 : 성평등에 대한 초기불교의 가르침
2부 부파불교와 대승불교
1. 부파불교
1 부파불교의 성립
2 『아비달마구사론』
2. 대승불교의 반야 공사상
1 『금강반야바라밀경(금강경』
2 『반야바라밀다심경(반야심경』
3 『중론』
3. 유식학(唯識學
1 삼성설
2 유식무경설
3 아뢰야식과 여러 가지 의식
4.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사상
1 대승기신론의 문제의식
2 대승기신론의 중심사상
3부 『화엄경』과 화엄사상
1. 『화엄경』의 불타관(佛陀觀
1 불타관의 전개와 발전 과정
2 『화엄경』의 불타관과 삼신불 개념
3 기독교의 신관과 『화엄경』 불타관의 비교
2. 화엄의 법계관
1 법계연기설
2 육상원융의(六相圓融義와 십현문(十玄門
3 의상대사의 『화엄일승법계도(華嚴一乘法界圖』와 「법성게(法性偈」
3. 『화엄경』의 보살관
1 『화엄경』의 보살 개념과 그 연원
2 『화엄경』 보살사상의 핵심인 십바라밀의 개념과 구조
3 보살의 깨달음과 보살행
4 『화엄경』 보살사상의 의미
4부 불교와 현대사회
1. 선과 화엄사상 회통의 현대적 의미
1 선과 화엄사상 회통의 필요성
2 지눌의 선교회통론 및 돈오점수설, 그리고 간화경절문
3 선과 화엄사상 회통의 근거와 방법
4 선과 화엄사상 회통의 실천적 의미
2. 현대 자본주의 사회와 문명에 관한 불교적 관점
1 자유주의(자본주의에 대한 맹목적 숭배와 문제점
2 자유주의(자본주의에 대한 불교적 성찰
3 새로운 길의 모색
3. 세계화와 화엄사상
1 세계화에 대한 검토의 필요성
2 신자유주의적 세계화와 세계체제
3 세계화의
불이문을 통해 붓다의 세계,
진리의 길로 들어가다
불이사상은 우주의 진리를 밝히고 인생의 이정표가 될 것이다
* 불교는 불이사상으로 관철되어 있다
불이사상은 이 세상에 존재하는 만물의 관계를 불이(不二 관계로 설명한다. 세상의 모든 현상과 사건은 서로 관계를 맺는 데서 생겨난다. 하나와 나머지 여럿의 관계는 근원적으로 둘이 아니며 관계의 그물망 속에 존재한다. 저자는 불이사상을 불교의 핵심사상이라 보고 불교 전체를 불이사상의 관점에서 설명한다. 이 책을 통해 불이사상의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볼 때 나, 나의 것, 나의 생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날 수 있으며 구속받지 않는 자유로운 무애의 경지에서 이를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1부는 니까야에 담긴 연기론, 사법인, 사성제 등 초기불교의 핵심적인 사상을 설명하고 불이사상을 논한다. 2부는 『아비달마구사론』을 중심으로 부파불교를 논하고 대승불교의 반야 공사상과 유식사상, 대승기신론사상을 다룬다. 3부에서는 『화엄경』과 화엄사상을 불타관, 법계관, 보살관을 중점으로 서술하여 불이사상의 심화 과정을 밝힌다. 끝으로 4부는 불이와 화엄사상의 관점에서 현대사회의 여러 문제점을 다룬다.
* 초기불교에서 대승불교를 아우르는 불이사상
초기불교는 하나와 여럿, 유와 무의 관계를 핵심 문제로 삼고 있다. 그것의 실상을 일다불이와 유무불이로 파악하고 있는 것이 곧 불이 사상이다. 따라서 초기불교의 핵심 사상인 연기론, 사법인, 사성제는 모두 불이사상을 골자로 한다. 저자는 니까야를 통해 초기불교의 근본적인 가르침은 불이사상에 있음을 확인하고 불교 사상과 이론을 불이사상으로 명쾌하게 밝힌다.
이러한 초기불교의 불이사상을 발전적으로 계승하여 체계화시킨 것이 대승불교이다. 저자는 대승불교의 반야 공사상과 유식학은 유와 무 중 어떤 측면을 강조했냐는 차이만 있을 뿐 모두 불이적 관점을 기본으로 하고 있음을 역설한다. 그럼에도 두 사상은 각자 한 측면을 강조하며 쟁론을 벌였다. 저자는 『대승기신론』과 『대승기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