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수의 글
프롤로그 | 약을 많이 먹으면 오히려 건강을 해칠 수 있습니다
1장 | 생활환경을 개선하면 약은 ‘빼기’가 가능하다
신약은 어떤 부작용이 있을지 아직 모릅니다
제약회사는 유리한 정보만 말합니다
혈압약도 얼마든지 줄일 수 있습니다
약을 10알이나 먹는데 나아지지 않는다면 의심해봅니다
약에 의존하면 삶의 질이 떨어집니다
치매약은 사실상 거의 효과가 없습니다
수면제를 먹지 말고 환경을 바꿔보세요
의료의 목적은 연명이 아니라 잘 사는 것입니다
효과가 확실하지 않은데도 처방하는 약이 있습니다
나에게 꼭 필요한 약이 무엇인지 알아야 합니다
2장 | 비싼 약, 효과도 더 좋을까?
코로나19에 특별한 치료제는 필요 없습니다
체력만 유지하면 바이러스는 알아서 죽습니다
효과보다 부작용을 더 따져야 할 약이 있습니다
코로나19 백신, 모든 연령이 맞을 필요는 없습니다
백신이 오히려 코로나19 공포증을 부추깁니다
약과 치료법은 사람마다 달라야 합니다
백신 후유증은 분명 있습니다
백신 후유증으로 정신과 약을 먹는 사람들이 늘어났습니다
‘해독’에서는 약에 의지하면 안 됩니다
백신을 맞았는데 왜 폐렴에 걸렸을까요?
컨디션이 안 좋을 때는 약을 먹지 말고 그냥 쉬세요
3장 | 약을 줄일수록 살아난다
의사는 약만 처방해주는 사람이 아닙니다
약은 늘리기는 쉬워도 줄이기는 어렵습니다
최종 목표는 약을 먹지 않는 것입니다
중복되기 쉬운 약부터 줄여나갑니다
사실은 먹지 않는 약이 절반입니다
의사에게 약을 먹지 않겠다고 말해도 됩니다
혈당 조절은 나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의학에는 약을 ‘끊어야 할 때’라는 개념이 없습니다
나의 건강을 의사가 책임질 수는 없습니다
똑똑한 환자가 되어야 합니다
약도 얼마든지 해로울 수 있습니다
4장 | ‘기준치’가 수명을 단축한다
약으로 혈당이 너무 많이 내려가면 알츠하이머 위험률이 올라갑니다
혈당치를 내리는 데는 ‘약보다 운동’이 더 좋습니다
내 상태가 좋다고 느껴지면 스스
약을 1알도 먹지 않는 98세 초고령자가 있다
의료 저널리스트는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약과 백신을 맹신하고, 의사와 환자 모두 약에 의존하는 현상에 대해 5인의 의사와 인터뷰를 하고 대담을 정리했다. 인터뷰에 참여한 5명의 의사들은 명문 의과대학을 나와 오랜 기간 연구실이 아닌 의료 현장에서 환자들과 직접 소통하며 약에 대한 인식을 바꿔야 한다는 데에 한목소리를 낸다. 이들이 말하는 핵심은 다음 5가지다.
“신약(백신 포함은 바로 먹지 말고 상황을 두고 본다.”
“약에 기대하기보다 먼저 면역력과 회복력을 키운다.”
“약은 ‘제로(0’가 이상적이다. 우선순위가 낮은 약부터 줄인다.”
“혈압, 혈당 수치 등의 기준치에 연연하지 말고 몸 상태에 따라 약을 조절한다.”
“무작정 약에 의존하기보다 생활환경, 인간관계, 가족관계를 먼저 고려한다.”
특히 복수의 질병을 가진 고령자들은 먹는 약의 종류도 많은데, 환자들을 진료해보면 다약제 복용(폴리파머시, poly-pharmacy이 오히려 몸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것이다. 실제로 혈압을 낮추기 위해 이뇨제를 복용하면서 죽어가던 환자는 오히려 약을 끊고 다시 일을 하러 나갈 정도로 몸이 회복되었다고 한다.
“의사에게 처방받은 대로 약을 많이 먹으면 오히려 건강을 해치고 수명이 줄어들 수도 있다. 건강하게 장수하고 싶다면 몸과 마음을 의료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아야 한다.”라고 주장하는 의사들은 어떤 근거를 가지고 이렇게 말하는 걸까?
내 몸을 의사에게 맡기지 마라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약을 먹으면 결과적으로 면역 기능이 떨어진다.” 콜레스테롤이 지나치게 줄어들면 세포막이 약해지고, 콜레스테롤이 재료가 되는 남성호르몬 분비량도 줄어들기 때문이다. 약을 처방할 때는 이런 것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한다. 내분비과에서 치료를 위해 처방하는 약이 호르몬 쪽에는 나쁜 영향을 끼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런 점에서 모든 질병에 대처할 수 있는 약이란 애초에 없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