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logue 『자본론』과 빨간 잉크_9
chapter 1 ‘상품’에 휘둘리는 우리_17
남쪽 섬 어부의 이야기 | ‘물질대사’로서의 노동
인간의 노동은 무엇이 특수한가 | 『자본론』은 ‘부’에서 시작된다
부란 무엇인가 | ‘상품’의 정체 | 자본이 숲을 울타리 치다
인간과 자연의 관계가 바뀐다 | 눈앞의 돈벌이를 멈출 수 없다
필요한 것보다 ‘팔릴 것 같은’ 것들 | 물건에 이용당하고 휘둘리는 인간
춤추는 탁자? | ‘민영화’라는 이름의 울타리 치기
사회의 ‘부’가 위험하다! | 가성비 사고의 내면화
더 나은 사회로 가는 지름길
chapter 2 왜 과로사는 없어지지 않는가_59
끝없는 가치 증식 게임 | 자본이란 “운동”이다
자본가가 돈벌이를 멈추지 못하는 이유 | ‘생산이라는 숨겨진 장소’
‘노동력’과 ‘노동’의 차이 | 장시간 노동이 만연하는 메커니즘
노동력도 ‘부’ | 반복되는 ‘과로사’의 비극
‘자유’가 노동자를 궁지로 몰아넣는다
왜 그렇게까지 열심히 일해야 하는가 | 임금인상보다 ‘노동일’ 단축
자본가로부터 ‘부’를 되찾다 | 상반된 두 가지 움직임 | 노동시간 단축을 향해
chapter 3 혁신이 ‘별것 아닌 일’을 낳다_93
케인스의 낙관과 비관적인 현실 | ‘더 싸게’ 하라고 압박하는 자본주의
생산력 향상이 낳는 ‘상대적잉여가치’ | 누구를 위한 혁신인가
‘분업’이 노동자를 무력화한다 | 노동이 고통스러워지는 근본 원인
인간다움을 앗아 가는 테일러주의 | ‘기계’에 봉사하는 노동자
무력한 생산자는 무력한 소비자다 | 생산력 향상으로 일자리를 잃다
‘경영자 입장’이라는 거짓말 | 불싯 잡 | 자율성을 되찾으라!
소외를 극복하기 위해 | 급식을 지키려는 노력
chapter 4 녹색 자본주의라는 우화_135
자본의 약탈욕이 자연에도 미친다 | ‘자본세’의 불합리한 불평등
“대홍수여, 내가 죽은 다음에 오너라!” | 회복 불가능한 균열
‘복잡성’의 파괴 | 자연의 포섭은 멈추지
아마존재팬 경제 분야 1위
슬라보이 지제크, 제이슨 히켈, 티티 바타차리야 극찬 MZ세대 사상가
신서대상 2021 대상 수상 작가
도이처기념상 역대 최연소 수상자
자본주의로부터 ‘부’를 되찾으라!
코뮤니즘이라는 유토피아를 상상하기 위해 『자본론』을 읽어야 한다
“지금 여러분이 느끼는 불안과 삶의 어려움은 근거가 없는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우리의 삶이 점점 더 풍요로워지리라는 약속이 21세기에 들어서는 더 이상 지켜지지 않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빨간 잉크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한 번은 버린 『자본론』이 바로 그 빨간 잉크입니다. 왜 그럴까요? 그것은 『자본론』을 읽음으로써 우리는 이 사회의 부자유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프롤로그에서
우리는 신자유주의라는 이름의 ‘시장 원리주의’가 지배하는, 불평등이 급격히 확대된 사회에 살고 있다. “야근을 줄이려 해도 3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과 아이들 학원비가 가계를 압박하는” 한마디로 팍팍한 생활을 하며, “폭염, 홍수, 가뭄 등의 피해” “기후변화의 영향”이 점점 더 커지게 될 위태로운 지구환경에서 살아가고 있다. ‘글로벌 자본주의’는 “우리가 사는 사회의 모습을 엉망진창으로 만들어” 버렸다.
사이토 고헤이는 자본주의가 말하는 “풍요”의 실체가 무엇인지 되짚는다. 자본주의의 발전과 함께 약속된 ‘꿈의 기술’인 AI, 로봇공학으로 노동에서 해방된 인간? 유전공학의 발전으로 수명이 늘어난 인간? 지속 가능한 지구환경? 이런 기술이 완성될 전망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한다.(13쪽
미래 기술이 나날이 발전해 가는데 “전혀”라는 저자의 지적이 다소 의아할 수 있다. 다음 사례를 보면, 저자의 의도를 알 수 있다. “이러한 기술로는 진정한 의미의 풍요가 전혀 실현될 수 없다”라는 지적이다. 저자는 코로나 사태로 우버이츠 아르바이트를 체험한 경험을 풀며, 로봇 기술의 발전으로 자유로운 노동이 가능해졌다는 언설의 허상을 파헤친다.(125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