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잘사는 나라를 만들고 싶었던 조선의 학자들
생생한 인물 이야기로 실학자들을 만난다!
[유형원 - 백성을 위한 쓸모 있는 학문을 만들다]에서는 모든 백성이 잘사는 나라를 꿈꾸며 실학을 일으킨 유형원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농업을 중시했던 유형원은 백성의 삶을 안정시키고 나라를 부강하게 하기 위해서는 모든 이에게 땅을 똑같이 나눠 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시 그가 세운 계획은 실현되지 못했지만, 사회·정치·경제 등에 걸쳐 세상을 개혁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담은 그의 저서 《반계수록》은 훗날 학자들이 실학을 발전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정약용 - 청렴함과 따뜻함으로 백성을 다스리다]에서는 수원 화성을 설계한 천재 과학자이자 현명한 목민관이었던 정약용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정조의 총애를 받아 수원 화성의 설계를 맡게 된 정약용은 무거운 돌도 거뜬히 옮길 수 있는 거중기와 유형거를 발명해 백성의 수고로움을 크게 덜었다. 곡산 부사로 부임한 뒤에는 특유의 따뜻함으로 백성의 삶을 면밀히 살피며 돌보았고, 유형원의 토지 개혁안을 참고해 농민에게만 땅을 나누어 주는 정전법을 구상하기도 했다.
[박제가 - 청나라를 보고 배워 경제 발전을 꿈꾸다]에서는 가난에 허덕이는 조선을 구하기 위해 북학을 외쳤던 박제가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박제가는 청나라의 수도 북경에서 눈부시게 발전한 상권과 다양한 문물을 접하고 돌아와 조선 역시 수레와 배 만드는 기술을 배워 무역하는 지역을 넓히고 상업을 발달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제가는 생활에 이로운 청나라의 풍속을 담은 저서 《북학의》를 집필해 청나라의 문화를 적극적으로 배우자고 주장하기도 했다.
[박지원 - 재기 발랄한 풍자로 시대의 모순을 꾸짖다]에서는 예리하고 재치 넘치는 소설로 시대를 비판한 박지원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박지원은 나라의 빚도 제대로 갚지 못하는 몰락한 양반을 내세워 허울만 좋은 양반이라는 신분을 비판한 《양반전》, 장사를 하찮게 여기고 방에 들어앉아 책만 읽는 선비들의 행태를 지적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