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 례
책머리에
서언
I. 서장: 국가형성기의 복합사회와 초기국가
1. 머리말
2. 초기국가 이론 검토
3. 국가형성 단계로서 초기국가의 성격
4. 초기국가의 공납제적 지배와 복합사회
5. 맺음말
II. 단군과 기자의 조선: 신화와 역사의 경계
1장 단군기원과 고기
1. 머리말
2. 단군의 즉위년과 요의 원년
3. 단군의 어국과 기자의 수봉
4. 단군기원과 「고기」의 시점
5. 맺음말
2장 기자조선과 소중화
1. 머리말
2. 기자조선 전승의 성립 과정
3. 기자조선 전승의 수용과 군자국의식
4. 기자조선의 국사 편입과 소중화의식
5. 맺음말
3장 중국의 청동기 명문과 기자동래설
1. 머리말
2. 요녕 객좌의 ‘기후’명 청동기와 기자동래설
3. 상주 청동기의 ‘其’ 족명과 연국의 기족(箕族
4. 대릉하유역 청동기 명문의 성격과 연후
5. 맺음말
4장 준왕남래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머리말
2. 준왕남래설의 성립 과정과 문제점-기자동래설의 변주-
3. 준왕 제사와 조선계 한씨(韓氏·왕씨(王氏
4. 낙랑·대방 지역 조선유민의 마한 유입
5. 맺음말
III. 고조선의 정치체제와 영역 구조
1장 고조선의 정치체제
1. 머리말
2. 정치발전 단계와 왕호
3. 관제의 구성과 성격
4. 맺음말
2장 고조선 이동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1. 머리말
2. 고조선 이동설의 기원과 변천
3. 험독의 위치와 연혁
4. 연의 침공 지역과 조선의 서방
5. 맺음말
3장 위만조선의 영역 구조와 한군현
1. 머리말
2. 위만조선의 영역 구조와 지역 세력
3. 예맥의 정체성과 창해군의 지역성
4. 2군의 폐합과 2부도위의 설치
5. 맺음말
4장 고조선사 체계의 재인식
1. 머리말
2. 삼조선사 체계의 성립 과정
3. 삼조선 평양설의 성립 배경
4. 고조선사의 시기 구분과 계통
5. 맺음말
IV. 삼한사회의 구조와 국가형성
1장 삼한의
10여 년간 공력을 기울여 탄생시킨 한국고대사 연구서!
시기마다 재인식되어 온 한국 초기사의 다층성을 조망하다
남과 북으로 분단된 현실로 인해 초기사 연구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고조선 유적 대부분이 북쪽에 있는 상황에서, 남쪽에서 고조선을 연구하는 것은 어찌 보면 공론처럼 보일 수 있다. 남과 북이 각자 한국(삼한과 조선(고조선을 중심으로 초기사를 바라보는 것도 당연한 현상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고구려를 삼한에 포함해 보는 삼한일통론(三韓一統論이나, 고조선과 삼한을 연결해 보는 삼한정통론(三韓正統論 및 전후삼한설(前後三韓說에서 보듯이 북과 남의 역사를 하나로 엮어 보는 역사의식은 오래된 전통이다. 고조선과 삼한은 시·공간적으로 분리된 것처럼 보이지만 사료 속에서는 복합적인 맥락으로 연결되어 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고조선의 고지인 평양 일대가 마한의 지역으로 이해되고, 신라의 기원인 진한은 고조선유민들에 의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난다.
역사 연구에서는 현재로부터의 대화 못지않게 과거로부터의 전통도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이런 면에서 역사는 전통의 현재화라고도 할 수 있다. 초기사는 가장 오래된 역사라는 점에서 현재화가 가장 여러 번 이루어졌다. 북한의 단군릉 발굴이나 남한의 가야사 복원 사업에서 보듯이 초기사의 재인식은 현재에도 진행 중이다. 초기사의 시간은 과거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역사를 통해 현재와 연결되어 있다. 이 책에서 시기마다 재인식되어 온 초기사의 다층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책 속에서
이 글에서는 국가형성 연구에서 여전히 “의미 있는 패러다임”으로 가장 폭넓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신진화론의 발전 단계설을 바탕으로 하면서, 최근 세계 학계에서 군장사회와 성숙한 고대국가 사이 중간 단계의 복합사회로 설정되고 있는 ‘초기국가’(early state의 성격을 검토하고자 한다. 그리고 초기국가의 개념을 한국 고대사에 적용해 국가형성 과정을 좀 더 가시적으로 설명해 보고자 한다. 특히 초기국가 단계의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