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천리귀안千里歸雁__v
제1장 대만 역사 및 영화 문화산업의 근원
제1절 대만 역사와 대만해협을 뛰어넘은 흑수구 전설
제2절 대만인들의 여가문화와 영화의 첫 울음소리
제3절 초창기 대만영화의 시대적 상황
제2장 대만영화의 모태인 대만어 자국영화 시대
제1절 일본식민의 그림자가 드리워진 혼성적인 대만영화
제2절 대만 사람들의 풀뿌리 의식 각성
제3절 대만어를 사용한 영화의 상징적 의미
제3장 계엄 시기의 스산한 기운과 온화적 분위기
제1절 대만영화의 문화적 근원인 중원 문화
제2절 표준 중국어 영화: 종족 융합과 문화 충돌의 느낌표
제3절 번영의 끝: 영화 황금기가 지난 후의 내일
제4장 유럽 및 미국 영화의 문화적 충격에서 벗어나는 대만의 ‘신영화(新電影’
제1절 영화적 정체와 획기적인 혁신
제2절 신세대 영화인의 철학과 창작
제3절 ‘신영화(新電影’의 사명: 새로움의 승계
제5장 20세기 말 대만영화에 투영된 빛과 그림자
제1절 신(新영화 후광 뒤의 숙명적인 운명
제2절 단절이 생긴 대만영화 및 중국영화의 부상
제3절 온 힘을 다하는 대만영화인의 노력들
제4절 세기말의 우울한 그림자:
임계점에서의 우아한 몸놀림
제6장 신세대 대만영화의 정신상태 및 문화언어 환경
제1절 신구 세대에서 대만영화의 상징적 의미
제2절 대만영화의 문예부흥: 후신영화(後新電影
제3절 대만 현대 인문의 특성: 영화문화의 새로운 언어 환경
제4절 대만영화의 활로 및 미래 전망
제7장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1: 대만영화제작자/감독/배우
부록 2: 대만의 주요 영화제
부록 3: 대만의 역사
감사의 말
역자 후기
머리말
천리귀안千里歸雁
4백 년 전의 대만은 정치·경제 중심이었던 대남(台南에서 대북(台北으로 이동하고, 그 외 지역은 장려( 지역이었다. 이 시기 고난의 역사기록은 남아있기는 하지만, 거의 오랫동안 방치되어 왔다. 1860년쯤에, 대만은 어쩔 수 없이 무역 거래를 개항하며, 근대 역사의 시작을 알린다. 안타깝게도 중원문화(中原文化는 식민지 시기 때마다 다른 문화가 유입되며 단절된다. 하지만 중국의 원류인 염황염제(炎帝와 황제(黃帝에서 유래한 완고한 민족 유전자는 문화전통을 최대한 고수하고 계승하려는 버팀목이다. 예컨대, 국민당 정부에서부터 현대의 민주사회까지 교육의 변화를 살펴보면, 대만은 정통 근원의 계승뿐만 아니라 중국 본토를 인정하는 심리를 강화하는데 방점을 두고 있다. 선거 때마다 민족의 의제는 늘 집단을 분열하는 수단이 되며, 실제로 대만 민중은 이미 악순환의 소용돌이 속에 놓여 있다. 하지만 홍콩이 중국에 반환되기 이전과 같이, 대만은 “말은 옛 모습 그대로 달리던 대로 달리고, 춤은 예전에 추던 모습 그대로 추고, 밥은 이전에 먹던 그대로 먹는” 사회 현상이 형성된다. 이처럼 대만 민중은 정치적 혼돈과 자유민주주의의 틈바구니에서 강렬한 생명력을 보여준다.
부계 혈연은 중원에서 시작되었지만, 원주민 및 청나라 시기에 이민 온 한족이 아닌 대만사람들은 (약간의 농락과 적의를 내포한 의미로 외성인(外省人이라 불린다. 따라서 내성인/외성인 간의 갈등을 어찌 이해할 수 있겠는가...
계엄령이 해제된 이후, 중국과 대만 양안 간의 긴장된 열기는 또 한 번 우리 세대의 기대를 저버린다. 이러한 격변의 흐름 속에서, 대만 민중은 항상 바둑알처럼 조종을 당하면서 반항할 힘조차도 없다. 다행히도 황금시대의 대만영화는 희극영화, 무술영화, 사랑 문예 영화, 황매조 영화, 가무영화, 액션영화, 지역영화, 군대영화 등을 통해 어린 시절과 청소년 시기의 아련한 기억을 회상시킨다. 당시의 대만은 사회 관습뿐만 아니라 오락 분야가 매우 단순해서, 영화 아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