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시작하며
모색 1. 장대익_현재 저출산 현상은 자연스러운 본능의 결과
모색 2. 장구_콜라, 딸기우유, 탕후루가 저출산 원인?
모색 3. 서은국_행복감, 아이를 세상에 착륙시킬 활주로
모색 4. 허지원_비혼과 비출산은 어쩌면 잠시 쉬어가는 방식
모색 5. 송길영_“엄마처럼 살기 싫다” 빅데이터가 알려주는 청년세대의 속마음
모색 6. 주경철_한국 소멸 위기? 새로운 문화와 제도로 대응한 역사적 사례
모색 7. 조영태_맬서스와 다윈의 상상 대담: 한국의 초저출산 원인과 해법은?
다시 시작하며: 좌담_새로운 질서가 온다
다양한 분야 최고 전문가들의 분석과 모색
유례없는 초저출산의 근본 원인과 해법
합계출산율 0.98명(2018년에서 0.72명(2023년으로. ‘1’이 무너진 이후로도 합계출산율은 끝없이 추락 중이다. 천만 인구가 살고 있는 서울과 수도권에서도 폐교가 생기기 시작했고, 놀이터는 어르신 운동 시설로 채워지고 있다. 2024년 합계출산율은 0.6명대를 기록하리라는 예측도 나온다. 5년 전 ‘1’의 붕괴는 충격적 뉴스였다. 그것도 곧 반토막 날 전망이다. 한국의 유례없이 낮은 출산율은 이제 세계인의 걱정거리가 되었다. 정말, 왜 이렇게까지 된 것일까?
인구학자 조영태 서울대 교수, 진화학자 장대익 가천대 석좌교수, 동물학자 장구 서울대 교수, 행복심리학자 서은국 연세대 교수, 임상심리학자 허지원 고려대 교수, 빅데이터 전문가 송길영 마인드 마이너Mind Miner, 역사학자 주경철 서울대 교수가 한자리에 모였다. 각 분야 최고 전문가가 모여 우리 사회 초저출산 현상의 진짜 이유를 분석하고 해법을 모색했다. 현금성 지원 같은 단선적인 복지정책 프레임에서 벗어나 인간의 생물학적 본성과 심리적 기제에서 저출산에 대응한 다른 나라의 역사적 사례와 우리가 추구해야 할 사회 시스템의 변화까지, 종합적으로 고찰하고 조망하는 학계 최초의 저출산 대처 융합 프로젝트.
생물학적 관점에서 본 초저출산의 원인과 배경
저출산은 생존을 위한 합리적 선택인가?
1. 진화학자의 모색 | 장대익
“출산 의욕을 감소시키는 경쟁에 대한 심리적 밀도를 줄여야 한다.”
모든 생명체의 진화적 목표는 생존과 재생산(번식이다. 그중 어느 쪽에 에너지를 더 많이 쓸 것인가는 개체가 환경을 어떻게 지각하느냐에 달려 있다. 주변 환경이 실제로 경쟁적이거나 그렇다고 지각하는 경우, 우리는 번식을 늦추고 아이를 적게 갖으려 한다. 그런 환경에서는 자손의 번영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오히려 자신의 경쟁력을 높이는 전략을 취한다. 주지하듯이 한국 사회는 경쟁적이다. 따라서 저출산은 환경에 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