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6
1부 동아시아 영화도시를 걷는 여성들
1장 여성과 도시 및 예술의 관계 21
‘여성 산책자’에 대한 고찰 21
‘산책자’ 개념의 원천에서 다시 ‘여성 산책자’ 개념으로 29
그라디바 효과의 탈영토적 성격 43
『그라디바』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고찰 47
2장 영화도시의 거리를 걷는 여성들 52
사진과 영화에서의 산책자 이미지 52
몸짓 : 걷는 행위와 시각의 분열 63
여성 산책 : 공공 영역에서의 여성 주체성 69
그라디바와 관련된 영화들 72
여성의 몸과 몸짓에 대한 페미니즘 이론들 83
동아시아 영화 속 소도구와 몸짓 90
2부 한국, 홍콩, 대만, 중국, 일본의 영화도시 속 여성들
3장 <엽기적인 그녀> : 서울의 그녀, 전지현 99
<엽기적인 그녀>의 개요와 위상 및 구조 99
서울의 그녀(전지현의 몸짓과 젠더적 공격성 112
주인공의 도시산책과 타인의 다양한 걸음걸이 133
4장 <화양연화> : 홍콩의 수리첸, 장만옥 141
<화양연화>의 개요와 위상 및 구조 141
수리첸(장만옥의 걷기와 수행적 풍경 150
중국 여성의 걷기에 대한 탐미적 형상화 160
5장 <밀레니엄 맘보> : 타이베이의 비키, 서기 168
<밀레니엄 맘보>의 개요와 위상 및 구조 168
비키(서기의 걷기와 수행적 풍경 173
대만 근대화를 형상화하는 여성 산책자 180
6장 <여름궁전> : 베이징의 유홍, 학뢰 192
<여름궁전>의 개요와 위상 및 구조 192
낭만적인 걷기와 여성 산책자 유홍(학뢰 204
베이징 천안문에서의 집단의 걷기 216
7장 <아사코> : 도쿄의 아사코, 카라타 에리카 223
<아사코>의 동일본대지진 이전과 이후의 청춘 군상들 223
아사코(카라타 에리카의 걷기와 수행적 풍경 229
오프닝, 귀환, 엔딩 시퀀스에서 아사코의 걷기 237
나오며 255
참고문헌 268
그림 목록과 출처 277
인명 찾아보기 279
영화 찾아보기 283
뉴 밀레니엄의 동아시아
현대 동아시아의 정치, 경제, 문화 지형은 격변을 거듭해 왔고, 이는 도시 공간에도 영향을 미쳤다. 중국은 1989년 천안문 사태 이후 1992년 경제 개방을 통해 급속한 정치·문화·경제 성장을 달성하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개최하며 세계 초강대국으로 올라섰다. 아편전쟁 이후 155년 동안 영국의 통치를 받아 온 홍콩은 1997년 중국에 반환되며 급격한 사회·경제체제의 변화를 겪었다. 홍콩의 다중은 2019~2020년의 홍콩 시위에서 이로 인한 상실감과 좌절을 표현하였다. 한편, 대만은 홍콩의 중국 반환과 중국의 정치·경제적 성장 속에서 친중 세력과 반중 세력으로 나뉘어 사회적 대립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혼란 속에서도 모순적으로 대만의 경제·문화적 영향력은 강화되고 있다. 또 한국은 1997년 IMF 외환위기를 겪은 뒤에도 뉴 밀레니엄 이후 홍콩이 영위해 온 아시아 문화 중심의 위상을 흡수하며 한류의 흐름을 만들어 왔다. 최근의 한국 사회는 극심한 양극화로 신음하고 있고 동아시아 지역의 군사적 긴장감을 높이는 정권의 행보는 불안감을 높이고 있다. 일본은 동아시아의 정치, 문화, 경제 분야에서 차지하던 압도적 우위를 중국과 한국에게 넘겨주었고, 얼마 전 8·24 오염수 방출로 존재감을 드러냈다. 동아시아 국가의 도시들은 식민지 시대와 독립 이후의 압축적 근대화, 즉 경이로운 경제발전을 이룩한 산업화의 결실을 경험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근대화의 과정에서 초국가적 경제 위기와 코로나 팬데믹, 기후위기를 겪으며 민주화의 성취와 퇴행의 기로에 서게 되었다.
엽기적인 그녀, 화양연화, 밀레니엄 맘보, 여름궁전, 아사코
〈엽기적인 그녀〉(2001, 〈화양연화〉(2000, 〈밀레니엄 맘보〉(2001, 〈여름궁전〉(2006, 〈아사코〉(2018는 모두 2000년 이후 개봉한 영화들 중에서도 여성의 도시 산책, 이동, 걷기가 중요한 소재로 사용되는 작품들이다. 이 작품들은 로맨스 장르이면서 동시에 역사적 사건 직후에 제작되거나 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