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이번 제2판은 초판 행정통제론에 담겼던 각종 관료제 통제제도의 변화를 반영하는 한편, 초판에 충분히 담기지 못했던 행정책임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담아 정부 관료제의 통제와 행정책임이라는 새로운 제목으로 출간되었다.
초판과 비교한 제2판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행정의 책임성에 관한 이론적 논의는 제2장 행정의 책임성으로 확대되었다. 제3장 행정통제의 원리와 유형은 대체로 초판의 제안을 그대로 유지하였으나, 제4장 정부 관료와 관료조직에 대한 이해에서는 최근의 여러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한국 행정문화의 변화와 지속 가능성을 재해석하였다. 제5장 이후는 관료제 통제기제를 관료와 관료조직의 재량에 관한 서로 다른 관점에 따라서 장별로 구분하여 정리하였고, 초판 이후 변화된 제도의 내용으로 수정 및 보완하였다.
초판에서 제기한 문제의식과 구성 체계를 유지하면서도, 근래 한국 사회에서 심각하게 우려되었던 정부의 무책임에 관하여 다면적으로 숙고할 수 있는 이론적 논의를 담았다. 지난 10여 년간 한국 사회에 발생한 여러 사건, 사고로 인해 사회는 정부의 책임이 무엇이며, 어디까지인지, 정부의 책임을 확보하기 위해 어떻게 통제해야 하는 것인지를 반복적으로 물었다. 이러한 사회적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행정책임의 다면성을 고려해야 하며 때에 따라 충돌할 수 있는 책임성을 함께 관리해야 할 필요성을 심층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따라서 책임성의 충돌, 책임의 주체, 책임의 범위, 책임의 통제방식 문제, 그리고 확장되어 가는 행정책임의 경향 등 여러 쟁점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행정의 책임이 기계적 법 집행이나, 상사 지시의 사유 없는 복종에 그치지 않으며 문제의 예측과 예방, 전문적 해법의 도출과 적용, 공공가치의 창출 등까지 포괄해야 할 필요성과 한계를 검토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공공문제를 해결할 정부의 책임을 다하기 위하여 어떤 통제 수단이 필요한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창의적이며 효과적인 통제제도는 무엇인지 구체적인 설계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