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정상동물 이데올로기와 편들기
제1장 고통받지 않을 권리 너머
‘안락사’는 없다 | 고통을 느끼지만 않으면 | 고통 중심의 동물권, 그 뿌리는 | 동물의 고통에서 동물의 기쁨으로, 인간과 동물의 공동체로 | 어떤 사랑을 할 것인가
제2장 동물을 대리한다는 것
한없이 노트북에 가까운 | 동물은 물건이 아니다 | 자연물은 당사자 능력이 없
다 | 세계 동물의 삶과 법 | 의인화라는 함정 | 의인화의 해체 | ‘투명한 어둠’에
갇힌 동물 | 대리의 조건들 | 대리의 정치들 | 동맹과 책임으로서의 자연-권
제3장 일하는 동물: 《자본론》 다시 쓰기
책임과 호혜를 묻다 | 인간의 노동에 가려진 동물의 노동 | 왜 하필 노동인가 | 응답하는 힘: 죽여도 되는 존재로 만들지 말라 | 다시, 만국의 노동자들이여, 단결하라
제4장 동물원, 복지원, 보호소
갇힌 존재들 | 동물원, 수족관이라는 시설 | ‘보호’라는 이름의 정치 | 예시적 정치, 공생과 돌봄의 공동체 | 대항배치로서의 공생과 돌봄의 공동체로
제5장 동물권과 포식의 정치
‘고기’는 무엇을 가리고 있나 | 육식주의와 정상동물 이데올로기 | 자본은 자연을 직조한다 | 인간-비인간의 동맹 맺기, 비거니즘 | 배양육과 비거니즘 | 자본주의의 대항배치로서 비거니즘 | 실천으로서의 비거니즘
제6장 위기들의 시대, 동물과 공생하기
기후위기와 동물권은 어떻게 만나나 | 기후, 정의를 말하다 | 왜 기후문제는 부정의한가 | 기후정의와 만나는 노동, 젠더, 빈곤, 난민, 평화 | 그런데 동물은 없다 | ‘채식할 수 있는 권리’의 보장이 아닌 ‘채식해야 하는 세상’으로 | “소”여야 해: 동물과 기후와 지역이 만나는 곳
참고문헌
미주
“사랑에는 인종도 피부색도 상관없다면,
어떤 종인지도 지워질 수 있다”
동물과 함께하는 유대와 사랑의 정치, 동물권
저자는 동물도 인간과 동등한 존재라고 생각했던 피타고라스와 동물의 생명을 빼앗는 육식을 죄악시한 플루타르코스부터 동물철학의 역사를 짚어가며 동물권을 정립해나간다. 동물이 쾌락과 고통을 느낄 수 있다면 그들의 쾌락과 고통을 인간의 것과 동등하게 대우해야 한다는 피터 싱어의 ‘동물해방론’, 동물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본래적 가치를 지녔으므로 선천적인 권리를 가진다고 본 톰 레건의 ‘동물권리론’은 동물권 운동의 기점이 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동물에게 ‘인간과 동등하게 대우받을 권리’가 필요하다고 선언하여 그들에게 고통을 주는 인간의 행위가 잘못되었다고 입증하는 데 집중했을 뿐, 인간중심적 사회에서 동물이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지는 못했다. 또한 ‘권리를 부여하는 인간-권리를 부여받는 동물’이라는 위계에서도 벗어나지 못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덕윤리학’은 인간의 유덕함을 기반으로 한 동물과 인간의 상호 존중을 강조했고, ‘동물정치공동체’는 이미 사회공동체의 성원으로 살아가고 있는 동물에게 특수한 ‘시민권’을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간사회에서 학대와 착취에 시달리는 동물이 해방되려면 인간과 동등한 권리를 보장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동물과 인간이 각자의 존엄성과 자율성을 유지한 채 공생 관계를 맺으려면 새로운 윤리와 정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윤리·정치·권리의 객체였던 동물을 주체에 자리에 놓으려는 시도들이었다.
저자는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지금까지의 동물권 담론에 부족했던 ‘유대’와 ‘사랑’을 강조한다. 인간이 국적, 인종, 성별 등의 차이를 넘어서 유대와 사랑을 느낄 수 있다면 종을 넘어선 유대와 사랑의 관계를 맺을 능력도 있다고 말한다. 따라서 종차에 얽매이지 말고 인간-동물이 함께하는 유대와 사랑의 윤리를 상상하는 것이야말로 동물에 대한 존중과 책임을 다하는 것이라 강조한다. 고통받지 않을 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