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 평화의 구조에 대한 아시아적 전망의 오디세이│책을 펴내며
제 1 장 동아시아 대분단체제론과 미중 갈등 그리고 한반도(2023
1. 동아시아 근현대사에서 미중관계의 전제로서의 미일연합
2. 전후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성립 : 냉전과 탈냉전을 관통하는 연속성
3. 2000년대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진화
4. 대분단체제 제3국면의 동아시아와 한반도
5. 경직화하는 양극적 동맹체제에서 미일동맹과 한국의 선택
6. 가야 했지만 가지 않은 길
7. 맺는말 : 한반도 평화의 위기는 문명적·생태적 위기
제 2 장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의 역사인식과 동아시아(2023
1.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투하와 한반도
2. 히로시마·나가사키 원폭투하와 인간적 희생
3. 미국의 대일본 원폭사용 결정의 과정과 동기
4. 원폭과 전쟁종결의 역사적 인과(因果
5. 원폭투하 사태에 대한 천황의 책임과 일본사회 내부 반전(反戰의 문제
6. 전략폭격의 반인도성과 그 절정으로서의 원폭
7. 원폭사용의 정당성에 관한 시선들
8. 원폭사용을 배제했을 때 역사의 향방에 관한 인식
9.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폐쇄회로와 히로시마·나가사키
제 3 장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와 신냉전, 그리고 그 너머(2022
1. 대분단체제로 바라본 전후 동아시아
2. 탈냉전 후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지속 : 3차원적 긴장의 재충전
3. 탈냉전기 동아시아 대분단체제의 제1국면과 제2국면
4. 2010년대 말 이후 동아시아 대분단체제 제3국면과 러시아-서방의 신냉전
5. 제3국면이 동아시아 평화에 제기하는 세 가지 도전
6. 미중 패권경쟁 속 양자택일을 강요하는 논리들과 대안의 사고
7. 동아시아 사회들의 연결된 운명과 세 가지 선택
제 4 장 한반도 정전체제의 동아시아적 맥락과 평화체제 전환의 요건(2020
1. 전후 동아시아질서의 구성과 한국전쟁의 동아시아적 맥락
2. 정전협정과 제네바회의에서 한국과 인도차이나
3. 한국 정전협정과 베트남 평화협정 무력
『동아시아 대분단체제론』은 저자 이삼성(한림대학교 정치행정학과 명예교수이 전후 동아시아의 전쟁과 평화의 구조에 관한 우리 자신의 독자적인 아시아적 전망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이 질서에 대한 대안적 개념화를 추구해온 지난 20년간의 지성사적 오디세이다.
이삼성 교수는 동아시아에 대해 유럽과 마찬가지로 냉전-탈냉전의 이분법으로 논하거나 또는 북방삼각-남방삼각의 대립이라는 식의 다분히 평면적인 도식에 근거한 상투적인 논의들을 넘어선다. 그래서 동아시아 질서가 내포한 질곡의 구조에 대한 더 포괄적이고 더 깊은 개념화를 시도한다. 저자는 전후 세계와의 수평적 연관성과 함께 20세기 전체에 걸친 동아시아의 역사적 조건과의 수직적 연결을 또한 그 개념 속에 담아낸다.
대분단체제론은 먼저 중국대륙과 미일동맹의 대립을 가리키는 ‘대분단의 기축’과 복수의 ‘소분단체제’들로 이루어진 구조의 중층성을 주목한다. 이어 대분단의 기축을 구성하는 긴장의 다차원성―지정학적 긴장, 정치사회적 체제와 이념의 긴장, 그리고 역사심리적 긴장―을 정의한다. 또한 그렇게 중층적이고 다차원적인 구성단위들 사이의 상호의존과 상호작용성에 착목한다. 이로써 전후 동아시아 질서가 내포한 고유성과 그것이 냉전-탈냉전의 이분법을 넘어 21세기 오늘에까지 이어지는 연속성을 개념화한 것이다. 아울러 그 구조와 내용이 시대와 함께 진화하는 양상을 분석한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이 닫힌 질곡의 구조를 극복할 출구는 어디에 있는지를 끊임없이 묻는다.
우리 땅에서의 전쟁과 평화에 대한 한국 사회의 사유와 담론은 대개 한국과 미국의 동맹이라는 장치를 통해서 미국의 어깨, 더 구체적으로는 미 국방부와 국무부의 어깨에 얹혀서 한반도 문제를 미국과 미국이 대표하는 ‘세계’의 시각에서 바라보는 데 익숙해 있다. 정작 한반도의 가까운 환경인 동아시아와 그 사회들에 대한 우리의 관심은 피상적 수준에 안주하는 경향이 없지 않았다. 우리의 한반도 담론이 동아시아를 건너뛰어 영미권 대표 지식인들이 설파하는 세계질서 차원의 논의